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미국학비인 게시물 표시

미국 대학 재정보조 Need Blind 정책, 사기는 아닐까?

 미국 대학 장학금 Need Blind는 양두구육인가? ​ 베트남 호치민에 거주하는 한 학부모께서 이런 질문을 했다. "내가 아는 한 학생은 매우 우수한데 재정보조를 신청한 MIT에서 웨이팅이 되고, 재정보조를 신청한 다른 대학들에서도 모두 불합격됐다. 그는 매우 우수한 학생이었는데 아무 곳에서도 합격 통지를 받지 못했다. 그 학생의 어머니는 'Need Blind'도 믿을 것이 못된다고 말했다. MIT에서 디퍼를 받았다'며 Need Blind에 대해 매우 의심했다. 정말 Need Blind 정책을 믿어야 하나?" ​ 미국 대학 재정보조의 Need Blind 정책에 대한 진위에 대한 질문은 이 학부모뿐 아니라 그동안 여러 학부모들로부터 들었다. 국내에서 해외 대학에 많이 진학시키는 모 고등학교에서는 학부모와 학생들 사이에 아예 "재정보조 신청을 하지 마라"가 정설처럼 돼 있다. 몇 년 전부터 자신들이 재정보조를 신청해서 지원한 대학에 모두 떨어졌다고 경험 아닌 경험담을 널리 알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말 미국 대학들은 Need Blind 정책을 걸어 놓고 국제학생들에게 사기를 치는 것일까? ​ ​ 미국 대학 가운데 국제학생들에게 Need Blind 정책을 쓰는 대학은 Harvard College, Yale Un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MIT, Dartmouth College, Amherst College, Bowdoin College 등이다. 한국 학부모들은 이들 대학의 Need Blind 정책을 믿지 않는 것이다. ​ Need Blind 정책은 재정보조를 달라고 하는지 여부가 입학사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책이다.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들은 국제학생들보다 훨씬 더 많은 대학들로부터 Need Blind 정책 혜택을 받는다.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들을 대상으로 훨씬 더 많은 대학들이 Need Blind 정책을 쓰는 것이다. ​ 실제로 과거 미국에서 Need Blind 정책을...

美 대학 레귤러 장학금 신청하기

미국 대학 장학금 받기 관건은 대학 선정이다. 하버드 등 주요 미국 대학의 레귤러 지원 마감이 1월 1일이다. 불과 며칠밖에 남지 않았다. 얼리에서 떨어진 학생들은 절치부심 레귤러에서 합격을 기대하고 있다. 문제는 학비다. 레귤러로 지원하는 대학에서 꼭 재정보조를 받아야 하는 학생이라면 특히 대학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가고 싶은 대학은 많지만 그 대학에서 재정보조를 받을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다. 많은 명문 대학들이 국제학생들에게 재정보조/장학금을 주지만 조건이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비율로 볼 때 국제학생들에게 많이 주는 대학도 있고, 적게 주는 대학도 있다. 금액면에서도 천차만별이다. ​ 따라서 대학 선택이 가장 중요하다. 필자는 '가난한 아빠 세계 명문대 학부모 되기' 책에서 재정보조/장학금을 받기 위한 CSS 프로파일 작성법을 모두 공개했다. 이 책을 보면 보통 아버지들도 CSS 프로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대학이 재정보조를 줄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모를 것이다. 이것은 경험을 통해서 알아야 하는 부분이다. ​ 레귤러에서 미국 대학 장학금을 꼭 받아야 하는 학생들이라면 대학 선택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 이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면 미래율 연구소에 상담 또는 컨설팅을 요청하면 된다. <미래교육연구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