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IB인 게시물 표시

AP와 IB과정 사이 전학할시 주의해야 할 점

  ​ ​ 미래교육에는 종종 IB과정에서 AP과정 학교로, 또는 AP과정 학교에서 IB 과정 학교로 전학을 가는 문제를 묻는 학부모들이 많다. 당장 제주의 NLCS나 블랭섬홀에서 KIS로 옮기거나 서울 근교의 국제학교로 옮기는 학생들을 종종 본다. 어떤 부모들은 매우 걱정하고 두려워하고, 또 어떤 부모들은 '잘 따라가겠지.  뭐 다를게 있겠어?'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 오늘은 이 두과정의 학교에서 각각 다른 과정으로 옮길 때 어떤 문제가 있을까 생각해 본다.  IB과정에서 AP로 혹은 AP과정에서 IB로 전학을 가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와 AP(Advanced Placement) 과정 간의 전학에 대해 설명한다. 1.     MYP에서 AP로 전학: ▶장점: -      MYP는 폭넓은 교육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과목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갖추게 된다. -      비판적 사고와 연구 능력을 중시하는 MYP 교육은 AP 과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잠재적 문제점: -      AP는 과목별로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므로, 일부 과목에서 추가 학습이 필요할 수 있다. -      AP 시험 준비를 위한 특정 학습 전략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2.     AP에서 IBDP로 전학: ▶장점: AP 과정에서 얻은 심도 있는 과목별 지식은 IBDP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잠재적 문제점: -      IBDP는 더 통합적이고 학제간 접근을 요구하므로 적응에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      Theory of Knowledge(TOK), Extended Essay(EE), Creativity, Activity...

IB 과목선택부터 대학 지원까지, 미래교육연구소가 도와드립니다

  IB 디플로마 과정을 준비하는 학생과 학부모님들께 IB 과목 선택은 큰 고민거리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Higher Level(HL) 과목 선택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하죠. ​ 미래교육연구소는 IB 과목 선택부터 미국 대학 지원까지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하는 교육 기관으로, 많은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해왔습니다. 오늘은 미래교육연구소의 전문적인 조언을 바탕으로 IB 이공계 과목 선택 가이드를 소개해드립니다. ​ 이공계열, HL 과목 선택의 핵심은? 이공계열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HL 수학과 최소 한 개의 과학 과목(물리학 또는 화학)은 필수입니다. 여기에 학생의 흥미와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요구 사항에 따라 세 번째 HL 과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 1. 수학과 과학에 집중하는 경우: HL 수학 (Math Analysis and Approaches 또는 Math Applications and Interpretation) HL 물리학 또는 화학 HL 생물학 또는 컴퓨터 과학 (전공에 따라 선택) ​ 2. 수학, 과학, 영어 또는 사회 과목을 조합하는 경우: HL 수학 (Math Analysis and Approaches 또는 Math Applications and Interpretation) HL 물리학 또는 화학 HL 영어 문학 또는 언어와 문학, 또는 HL 경제학, 역사, 지리, 심리학 등 (선택) ​ 미래교육연구소의 조언: 대학 입학 요건 확인: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학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해당 대학에서 선호하는 과목 조합을 고려하세요. 학교 상담 교사와 상담: 학교 상담 교사와의 상담을 통해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최적의 과목 조합을 찾아보세요. 미래교육연구소의 도움을 받으세요: IB 과목 선택부터 미국 대학 지원까지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미래교육연구소로 문의하세요. ​ 미래교육연구소는 IB 과목 선택뿐만 아니라 미국 대학 지원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지원합니다. EC 활동 컨설팅, 에세이...

미국대학 합격 후 IB 파이널 스코어가 낮게 나오면...

  IB 프레딕션과 파이널 스코어 차이가 벌어지면 미국 합격대학 취소되나? ​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 프레딕션 점수와 실제 파이널 점수 사이에 큰 차이가 날 경우, 미국 대학들의 대응은 다음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 1.   합격 취소 가능성: 극단적인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대학마다 정책이 다르다. ​ 2.   일반적인 대학의 대응: 대부분의 대학은 즉각적인 합격 취소보다는 상황을 검토할 것이다. 학생에게 설명을 요구하거나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 3.   고려 요소: 1) 점수 차이의 정도 2) 전체적인 학업 성취도 3) 특정 과목의 중요성 (지원 전공에 따라) 4) 학생의 개인적 상황이나 특별한 사정   4.   대학별 차이: 일부 대학은 더 엄격할 수 있으며, 다른 대학은 더 유연할 수 있다. 명문대일수록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5.   학생의 대응: 큰 차이가 예상되면, 미리 대학에 연락하여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좋다. 정직하고 투명한 의사소통이 중요하다. ​ 6.   대안적 조치: 일부 대학은 조건부 입학을 제안할 수 있다. 예: 첫 학기 동안 특정 GPA 유지 조건 등 ​ 7.   예방책: 프레딕션 점수를 과대평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실제 능력을 정확히 반영하는 프레딕션 점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론적으로, 극단적인 차이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경우 합격이 취소되지 않는다. 그러나 학생들은 프레딕션 점수와 실제 점수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큰 차이가 예상될 경우 미리 대학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래교육연구소장 이강렬 박사> ​ ​

IB과목 선택에 고려해야 할 것은?

  미래교육연구소에 많은 학생들이 상담을 요청하지만 IB과정 과목 선택으로 오시는 부모님이 적지 않다. IB 디플로마는 11학년 ,12학년과정으로 과목은 HL과 SL로 이뤄진다. 이때 HL 3과목, SL 3과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HL3과목이다.  전공에 따라 선택을 해야 하나? 즉 내가 잘 못해도 필연적으로 선택하는 과목이 있는가? 아니면내가 좋아하는 것을 선택해야 하나?  ​ 오늘은 대학에서 이공계 전공을 하려는 학생이 HL에서 어떤 전공을 해야 하는가이다. ​ IB 과정에서 이공계 전공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Higher Level (HL) 과목 선택 시 수학과 과학 과목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 그러나 과목 선택은 학생의 관심사, 진학 계획, 그리고 대학의 입학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1. 수학과 과학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 HL 수학 (Math Analysis and Approaches 또는 Math Applications and Interpretation) - HL 물리학 또는 화학 (대부분의 이공계 전공에서 요구됨) - HL 생물학 또는 컴퓨터 과학 (전공에 따라) ​ 2. 이 조합은 이공계 전공 준비에 가장 적합하며,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의 심화 학습을 통해 대학 수준의 과정을 잘 준비할 수 있다. 수학, 과학, 영어 또는 사회과목을 포함하는 경우:                                                                                    ...

AP와 IB, 우리 아이를 위한 선택은?

 두 프로그램 목표와 철학이 다르다 AP는 선택이지만, IB는 커리큘럼이다 ​​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아직도 The Advanced Placement(AP)와 International Baccalaureate(IB)을 놓고 어떤 것이 미국 대학 진학에 더 유리한 지 고민을 한다.  IB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학교의 학부모들은 공연히 어렵게 IB를 선택했다고 후회를 하고, AP를 하는 학교 학부모들은 IB를 선택하지 않은 것에 미련을 갖는다. AP나 IB 모두 대학 수준의 과정이고 이를 이수했을 경우 대학에서 학점으로 인정을 받는다.  ​ 그렇다면 이 두 프로그램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AP, IB 가운데 어떤 것이 더 우수하고 강력한 프로그램일까? 미국 대학들이 두 프로그램 중 어떤 것을 더 선호할까? 학부모로서는 관심이 높을 수 밖에 없다. ​ 필자는 오늘 이 두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학부모들의 혼란을 불식시켜 드리고자 한다. 앞서 설명을 했듯이 AP나 IB 모두 고등학교 과정에서 제공하는 매우 도전적인 대학 과정이다. 다만 두 프로그램의 철학과 목표가 다소 다르다. ​ ​ AP는 미국에서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이 도전적인 대학 과정을 이수하게 함으로써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AP는 고등학교 커리큘럼으로 세팅되어 있지 않다. 즉 선택이다.  우수한 학생들은 자신의 계획과 목표에 따라 1과목에서 많게는 12과목 이상의 AP 과목을 듣기도 한다. AP의 총 과목은 38개다. 이 가운데 자신에게 맞는 과목을 골라서 들으면 된다. 물론 이 과정이 고등학교에 개설돼 있어야 한다.  ​ 반면 IB는 스위스에서 시작된 프로그램이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이제는 전 세계 여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다. IB는 AP와 달리 교과 과정이다. IB 디플로마를 받기 위해서는 여러 과목 가운데 일정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과목은 선택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자체는 교과...

미국 대학 입시를 위한 GPA, AP-IB 특강 안내

 이강렬 박사의 미국 대학 장학금 / 명문대 합격 전략에 대한 소그룹 유료 특강 안내 ​ 미래교육연구소는 12월 들어 두번째 이강렬 박사의 소규모 그룹 유료 특강을 개최합니다. 이번 강의 주제는 미국 대학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Academic 요소, 즉 GPA와 AP-IB 수강 전략을 소개합니다.  ​ 이번 강의는 12월 21(목) 오전 10시부터 1시간 30분동안 진행됩니다. ​ ​                        -      아            래   - ​ 1. 주제: 미국 명문대 합격위한 GPA, AP-IB, SAT 수강 전략 2. 일시:  2023년 12월 21일(목). 오전 10시~11시 30분 3. 비용:  9만원 4. 참여방법: 미래교육연구소 전화 1577-6683이나 여기로 등록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YmVBh5kDTzbRRUl_LTihB8gyqttDTw6EWtTbAg0NMc9GItg/viewform   5. 참여 인원: 30명 이내 선착순 6. 문의: 전화 1577-6683이나 02) 780-0262, 또는 @미래교육연구소 카카오 채널  7. 기타: 참여 링크는 입금 후 메일 혹은 카톡으로 제공 ​ ​

미국 대학 입학사정에서 도움되는 AP/IB/A레벨, 그 차이를 알아보자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도전적인 학습 과정을 선택하는 학생은 미국대학 입학사정 요소 중 학업적 요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 도전적 학습 과정에는 AP, IBDP,  A-level 등이 있다.  ◆ AP(Advanced Placement) 대학 예비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이 과정 중 미국계 고등학교 커리큘럼의 가장 일반적인 코스로는 AP(Advanced Placement)가 있다. AP(Advanced Placement)는 College Board가 만든 미국과 캐나다의 프로그램으로서, AP수업을 이수한 후에는 과목별로 시험을 치르게 되고, 각 대학에서 요구하는 점수 이상을 취득할 경우 해당 대학 입학 후 학점 인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AP 과목은 10학년 때부터 수강이 가능하며 38개 과목이 있으나 학교마다 개설하는 과목이 다르다.  AP시험은 매년 5월에 2주에 걸쳐 치러지며 공식적인 시험 일정은 AP시험을 주관하는 College Board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AP시험은 5점이 만점이며, 대학마다 요구 점수가 다르지만 보통 3-4점 이상이면 대학 학점으로 인정된다. 미국 내 3600 개 대학에서 AP 스코어를 받아주고 있고 90% 의 대학들이 그 스코어로 학점을 주고 있으므로 미국 내 명문 대학 입학을 겨냥하고 있는 많은 수험생들은 AP 시험이야말로 그 실력을 입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AP 과목을 듣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행 과목을 들어야 하고 각 고교에서 요구하는 Placement Test(실력 테스트)나 선행 과목 담당 교사의 추천이 있어야 한다. 또 매년 3월경에 다음 학년의 AP 과목을 듣겠다는 신청을 해야 한다. 어떤 학생들은 이 시기를 놓치고 방학 중에 카운슬러와 다음 학년 스케줄을 정할 때야 비로소 잘못을 깨닫기도 한다. ​ ◆ IBDP 국제적으로 가장 많은 학교들이 채택하고 있는 과정은 IB(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다. IBDP는 2...

IGCSE 과정 끝난 후 A레벨이나 IB과정 꼭 해야 하나요?

IGCSE는  Cambridge International Examintion(CIE)에서 개발한 교육 과정 IGCSE만 마치면 중학교 졸업과 마찬가지 ​ 그동안 우리나라 외국인학교나 국제학교에서는 영국제 커리큘럼인 IGCSE를 채택한 학교는 있었지만 A-level을 채택한 학교가 없었다. 그런데 최근 몇몇 미인가국제학교에서 A-level을 채택하여 교육하고 있다.   A-level 커리큘럼을 채택하여 교육하고 있는 곳은 미인가국제학교로 British Education Korea(BEK) 와 KII Global School (Korea International Institute Global School) 이다.  IGCSE를 채택하여 교육하고 있는 학교는 여럿 있다. 국제학교로는 제주의 NLCS가 채택하고 있고, 외국인학교로는  코리아외국인학교와 덜위치 외국인학교 등이 IGCSE를 채택하여 교육하고 있다. 코리아 외국인학교는 그동안 IB커리큘럼을 채택했으나 최근 초등은 그대로 IB를 채택하고 있지만 중고등은  IGCSE로 바꾸었고, 이후 12~13학년으로 올라가는 학생이 있을 경우 A-level을 채택하기로 했다고 한다. 덜위치와 NLCS는 IGCSE를 교육한 후 12~13학년은 IBDP 커리큘럼으로 교육한다. IGCSE 는 영국 O Level, GCSE와 동등한 국제자격으로 Cambridge International Examintion(CIE)에서 개발했다. IGCSE는 초등과정의 IPC (Inter. Primary Curriculum)또는 English National Curriculum 후속 과정이다. ​즉, IGCSE(International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는 영국의 중고등 과정인 GCSE 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국제학생을 위한 국제 커리큘럼으로 개조한 것이다. ​ IGCSE는 IB와 마찬가지로 국제적인 공인성의 교육과정이다. 매우 많은 국제...

아이비리그 대학 진학을 위한 대학 예비과정 선택을 도와드립니다

6월 3일, 목요일 11시 줌 무료 특강 매주 주제를 달리해 6회 특강 계획 ​ 미국 대학, 그것도 상위권 대학들의 경우 입학 사정 요소에서 Rigor of secondary school report라는 항목이 있다. 이 항목은 바로 학생이 어려운 대학 예비과정을 들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College pre Courses에는 AP, IB, A 레벨이 있다. 이는 교과 과정들이다. 미국계 학교에서는 AP를 채택한 학교들이 많다. 유럽이나 동남아 그리고 일부 미국내 학교에서는 IB 과정을 채택한 학교들이 많다. A레벨은 영국계 학교들이다. 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영연방국가 고등학교에서 많이 채택을 한다.  ​ 그렇다면 어떤 과정이 어렵고, 미국 대학들은 어떤 과정을 들은 학생들을 선호할까? 미래교육연구소는 이를 특강을 통해 소개하려고 한다.  주제별 강의 2번째다.  6월 3일 목요일 11시 AP, IB, A-Level 무엇을 들을 것인가? ​ 이 강의를 듣기원하는 분들은 아래 연락처로 등록을 하면 된다. 비용은 무료다. 미래교육연구소는 이 외에도 다양한 주제로 특강을 개최한다. 희망자는 자기가 듣고 싶은 주제를 선택해 미리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참가를 희망하는 학부모들은 국내의 경우 전화 1577-6683이나 02)780-0262로 신청을 할 수 있으며, 국내외 학부모들은 카카오 플러스 @미래교육연구소로 신청이 가능하다. <미래교육연구소> ​

올해 5월 IB 시험이 취소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코로나로 인해 지난해 5월에 진행 예정이던 IB Real Test가 취소되었고, IB 본부는 금년도의 시험을 두고 다시 고민을 하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IB 과정을 개설한 고등학교들과 시험을 치를지 여부를 점검하고 있으나 아무래도 지금 추세로는 취소의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만약 올해 5월의 IB 시험도 취소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해는 IB 시험이 학교 성적으로 대체되었고, 금년도에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즉, 학생 입장에서는 학교 성적으로 지원을 하면 되니 전혀 문제가 없다. <다음은 IB가 홈페이지에 올린 글의 내용이다.> Last week, the IB announced a dual route to the May 2021 assessments. This was undertaken only after extensive consultation with our global IB community, including a survey of all our schools. A dedicated team has spent time speaking to schools following the survey to gain further insight. Today,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has begun the process of contacting schools to confirm whether they will sit exams this May or take the non-exam route we have developed for those that are still impacted by mandated closures or restrictions. Please note, where a school has not received confirmation of their route the IB continues to work with schools in that region and the a...

IBDP만 한 학생, 미국 명문 대학 진학 가능할까?

 미국 대학 진학시에는 고등학교 교과 과정을 이수했어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고등학교를 다녔거나 IB, A레벨, AP등 과정을 이수한 것이 아니라면 검정고시를 통해 지원이 가능하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IB 과정으로 미국 대학 진학을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요즘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소재 국제학교에서 IB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이 학생들의 부모님들의 말에 의하면 IBDP 이수만으로도 미국 명문대 진학이 가능하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정말로 SAT, ACT 없이도 미국 상위권 명문 대학 진학이 가능할까? ■유튜브: IB 만으로 미국 명문 대학 가능한가? 물론 IBDP 과정을 이수하는것만으로도 미국 대학을 갈 수는 있다. 전혀 문제 없다. 그러나 명문 대학에 진학한다고 하면 조금 상황이 달라진다. IB 과정을 이수했다 하더라도 하버드, 예일, 스탠퍼드 등 미국 상위권 대학은 고등학교 교과 이수 성적(GPA) 외에도 SAT와 ACT 등 미국 대학 수학능력시험 점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즉, SAT-ACT OPTIONAL 정책을 쓰는 대학을 제외하고는 IB 과정을 이수한 학생도 SAT나 ACT 시험 점수를 제출해야 한다. 미국 대학 가운데 SAT나 ACT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 대학이 꽤 된다. 일반적으로 1200여 개로 알려져 있다. 아이비리그 급인 시카고 대학도 SAT-ACT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다. NYU도 그렇다. NYU는 선택적으로 제출할 수 있다. 상위권 리버럴 아츠 칼리지인 보든 칼리지도  SAT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다. SAT, ACT 이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 대학은 IB와 토플/아이엘츠 성적 만으로 지원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은 IB 학생뿐만 아니라 A-레벨을 했든, AP를 했든 상관없이 똑같이 적용된다. 대표적인 대학은 워싱턴, 미네소타, 퍼듀 대학 등이다. IB 과정은 과정이 개설된 학교에 다니면 이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학생이 과정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 물론 IBDP 과정은 할 수도 있고, 일부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