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미국대학합격인 게시물 표시

디퍼와 웨이팅의 차이와 그 대처 방법→ "디퍼 먹었어요"

디퍼(Deferral)는 얼리에서 합격도 불합격도 아닌 상태로 레귤러에서 다시 한번 심사를 하겠다는 것이다. 웨이팅은 정시, 즉 레귤러에서 합격도 불합격도 아닌 상태로 결원이 있으면 추가 합격을 시켜주겠다는 것이다. ​ 얼리에서 불합격된 학생은 재심의 기회가 없다. 그러나 디퍼가 된 학생은 레귤러에서 재심의 기회가 있다. 그러나 아무나 디퍼에서 레귤러 재심을 통해 합격이 되는 것은 아니다. 디퍼를 풀려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웨이팅에서 풀리려면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 미래교육연구소는 얼리에서 디퍼가 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디퍼 풀기'전략을 상담을 통해서 제공한다.

美대학 정시(레귤러) 마감일 언제? …1월1일부터 4-5월까지 다양

미국 대학, 내신과 토플만 지원 가능하다. 이런 대학은 마감일이 다소 늦다 아이비리그 등 최상위 대학들 마감일 1월 1일 최근 수능과 수시를 잘못 본 학생들 가운데 국내 대학을 포기하고 미국 대학으로 방향을 전환한 학생들이 많다. 그런데 미국 대학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갖고 계신 분들이 적지 않다. 가장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원서 마감일이다. 많은 분들이 미국 대학 정시 마감이 1월 1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아니다. 미국 대학들의 정시 마감일은 매우 다양하다. 1월 1일부터 4-5월까지 다양하다. 마감일이 1월 1일인 대학들은 대부분 최상위권 대학들이다. 아이비리그 대학을 포함해 리틀 아이비, 아이비 플러스, 뉴 아이비, 히든 아이비 대학이 많다. 주립대학들 가운데서도 1월 1일 마감이 많지만 상당수 주립 대학들은 마감일이 1월 1일 이후 1월 15일, 2월 1일, 2월 15일, 3월 1일 등 다양하다. 따라서 지금 SAT, ACT도 준비 안 된 상태에서 1월 1일 마감 대학에 지원하려고 한다면 무리다. 가장 먼저 학생의 프로파일을 살펴보고, 둘째 가정의 경제적 상황, 즉 연간 학비를 얼마나 부담할 수 있는가를 보고, 셋째, 영어 공인 성적 준비와 내신이 준비됐는가를 판단해 지원할 대학을 선정하고 거기에 맞게 지원을 해야 한다. 더불어 가장 큰 문제는 에세이를 쓰는 것이다.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을 매서 바느질을 못한다. 마찬가지로 아무 대학이나 지원할 수 없다. 지원 조건을 맞추지 못하면 원서를 받아주지도 않는다. 따라서 학생의 프로파일을 먼저 냉정하게 분석을 하고 거기에 맞춰 대학을 정하고 지원을 시작해야 한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다. 아무 대학이나 가서는 안 된다. 또 실패를 하거나 자녀에게 맞지 않는 대학을 가게 된다. 국내 대학 수시에서 떨어진 학생들은 일단 내신과 토플로 가는 대학을 찾아야 한다. 토플 준비가 급하다. 이 두 가지...

미국대학 얼리 불합격 이후 레귤러 대책 세우기 - 각 대학별 얼리 합격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sephlee54&logNo=221164863943&proxyReferer=https%3A%2F%2Fblog.naver.com%2FPostView.nhn%3FblogId%3Djosephlee54%26logNo%3D221420596444%26categoryNo%3D0%26parentCategoryNo%3D0%26viewDate%3D%26currentPage%3D1%26postListTopCurrentPage%3D1%26from%3Dmenu%26userTopListOpen%3Dtrue%26userTopListCount%3D10%26userTopListManageOpen%3Dfalse%26userTopListCurrentPage%3D1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