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명성도 중요하지만 '직업 경험'이 더 중요 한국 학생, 인턴 안 하고 방학 때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유학생, 중국-인도보다 취업률 매우 낮아 미래교육연구소는 필자와의 대학 진학 상담에 앞서 학부모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다. 질문 가운데 하나가 '대학 선택 기준'이다. 상담을 받는 학생이나 학부모들의 70% 정도는 '명성'으로 대학을 고른다. 특히 보수적 시각을 가진 부모들의 경우 100% '대학 명성'을 꼽는다. '일류 대학'에 무슨 한이 맺힌 분들 같다. 그런 부모들에게 "미국 대학 졸업 후 미국에서 취업을 원하는가?"라고 물으면 또 100% 그렇다고 한다. 그렇다면 미국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하려고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1) 대학 명성: 즉 하버드나 스탠퍼드, 프린스턴, 예일 등 이른바 초 일류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취업이 훨씬 잘 될까? 주립대학이나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대학에 다녔다면 상대적으로 취업에 불이익을 받을 것인가? 2) 전공: 자기가 대학에서 공부한 전공에 맞춰 취업을 할 수 있을까? 취업이 잘 되는 전공이 있을까? 3) 교육의 질: 높은 전공 지식을 가지면 그 분야의 취업이 용이할까? 대학교 성적이 좋으면 취업이 잘 될까? 4) 인턴십, 코업 등을 통한 직업 경험: 재학 중 열심히 인턴이나 코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다른 학생들보다 취업이 쉬울까? 그 해답은 "고용주들이 찾는 것은 무엇일까"에 있다. 학부모들은 고용주가 가장 먼저 찾는 것 중 하나가 학교 명성, 그리고 대학에서의 높은 성적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어느 정도는 맞다. 하버드 대학이나 스탠퍼드 대학 등 명성이 뛰어난 대학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면 금융 서비스나 과학 분야와 같은 일부 직업군에는 취업이 잘 될 것이다. 즉 대학명성과 성적이 매우 매우 중요할지 모른다. 하지만 고용주들이 어떤 사람을 원하는가에 대한 대한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