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입시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재수를 고려할 수 있는 몇 가지 옵션이 있다. 사람들은 미국 대학에는 재수가 없는 것처럼 말하지만 재수가 있다. 또한 합격한 대학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갭이어란 제도를 통해 재도전할 수도 있다. 또한 CC를 통해 1-2년을 마치고 4년제 대학으로 편입을 하기도 한다. 그 어떤 경우도 가능하니 미래교육연구소와 상담을 하면 학생에게 가장 맞는 최적화의 길을 안내한다. 여기서 전문가의 조언이 꼭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재수'라는 개념보다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 입학을 목표로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미국 명문 사립대학 듀크대 전경> 갭 이어(Gap Year): 합격은 했는데 그 대학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선택하는 전략이다. 합격한 대학의 입학을 한 해 연기하고 이 시간을 활용해 대학 준비를 다시 하는 것이다. 본래 갭이어의 목적은 자기계발, 인턴십, 봉사활동, 여행 등을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경험하고, 대학 입시에서 보다 강력한 지원자가 될 수 있다. 갭 이어를 계획할 때는 대학에 연기 의사를 명확히 전달하고, 이 기간 동안 어떤 활동을 할 것인지 명확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대학에 따라 이를 불허하거나 까다롭게 심사하는 곳이 있으니 잘 알아야 한다. 커뮤니티 칼리지 후 전학: 미국 내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공부를 시작하고, 성적을 개선한 후 4년제 대학으로 전학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로를 통해 학생은 대학교육의 첫 2년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수할 수 있고, 이후 원하는 4년제 대학에 전학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단점도 많다. 상위권 대학에 가려는 학생들은 이 코스를 선택하지 않는다.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이 더 선호하나, 필자는 신중하라고 말하고 싶다. 재지원: 다음 해에 다시 대학에 지원하는 것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