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미국장학금인 게시물 표시

<美 대학 장학금> 얼리 합격과 학비, 그리고 장학금

https://m.blog.naver.com/josephlee54/220567950372 2019학년도 미국 대학 얼리 합격자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합격한 학생들에게는 축하의 박수를 불합격된 학생들에게는 위로를 보낸다. ​ 어떤 학부모들은 자녀가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기쁨도 잠시 곧 6-7만 달러가 넘는 학비 부담에 걱정이 태산인 경우도 있다. 벌써 미래교육연구소에 "얼리에 합격을 했는데 어떻게 하죠? 학비를 부담하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하소연해 오시는 학부모들이 있다. ​ 대부분 "장학금을 달라고 하면 떨어진다"라는 인터넷의 정보를 믿고 재정보조 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다. 이런 경우 결단을 내려야 한다. 6-7만 달러의 학비를 어떻게든 조달이 가능하면 그냥 등록을 하면 된다. 그러나 학비 조달이 어렵다면 과감하게 얼리를 포기해야 한다. 집을 팔고, 은행 대출을 받아서는 부모의 노후가 위협받는다. ​ 이런 경우 학비 때문에 등록을 못하겠다고 ED 합격 대학에 포기 의사를 밝히면 된다. 그리고 레귤러에 재정보조를 달라고 해서 지원을 하거나 부담 가능한 학비 수준의 대학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 학비 부담을 못하는 1지망보다 재정보조/장학금을 많이 받는 2지망이 먼 장래를 볼 때 더 나을 수 있다. ​ 3년 전에 쓴 글이지만 여전히 그 내용은 지금 상황과 같다. 일람을 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 <미래교육연구소> ​

<美 대학 장학금> 美 장학금 제도를 모르고 얼리에 지원했어요. 학비가 부담이 되는데...

장학금 신청 안 하고 얼리 디시전에 합격했을 경우 해결 방법 ED 풀고 지금이라도 레귤러에서 장학금 신청도 한 방법 "저는 이번에 원서를 쓰고 있는 12학년 학생의 부모입니다. 아이는 혼자 열심히 해서 나름대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SAT는 1560점이고 IB를 했으며 GPA는 4.0만 점에 3.98입니다. 그래서 얼리로 존스홉킨스에 지원을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학비입니다. 아이가 원해서 지원을 했지만 이 대학의 학비가  $52,170, 기숙사비가  $15,410입니다. 총비용이 $69,000를 상회합니다. 이 비용은 아빠 연봉이 1억 원인 지금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금액입니다. 집이라도 팔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지만 박사님의 글을 읽고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얼리 디시전에 합격을 하면 등록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학생들이 의외로 많다. 가정의 경제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아이가 가고 싶은 대학에 얼리, 그것도 디시전으로 지원을 했다. 위의 학생은 비학업적 요소를 보지 않았지만 존스홉킨스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 경우 부모님이 한화 7700만 원인 학비를 부담할 수 없다. 재정보조/장학금을 신청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에서 알아서 줄 리는 없다. 존스홉킨스는 일단 합격한 학생에게는 재정보조를 주지 않는다. 즉 "The Admitted student can't apply for financial aid"라고 되어 있다. 2-3학년 때도 받을 수 없다. 그렇다면 이 학교를 버릴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몇 가지 해결 방법을 찾아보자. 1. ED로 지원을 했지만 지금이라도 포기 의사를 이 대학에 전하고 재정보조를 받을 수 있는 대학에 레귤러로 원서를 넣고 동시에 재정보조를 신청해야 한다. 2. ED로 합격을 하면 일단 이 대학에 등록을 해야 한다. 그러나 학비 때문에 도저히 갈 수 없다며 release를 요청하면 풀어줄...

<업데이트> 美대학 얼리(ED.EA)합격자 발표일

미국 대학 들의 2019학년도  얼리 합격자 발표일 이 확정되고 차례로 통보될 예정이다. 일부 대학들은 예정일보다 앞당겨 발표하는 경우도 있다. 미래교육연구소는  불합격  또는  디퍼 가 되는 학생들의 레귤러 전략을 컨설팅한다.  기대하는 결과를 얼리에서 얻지 못한 학생들은 즉시 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궁금한 점 혹은 상담이 필요하면 미래교육연구소 전화  1577-6683 이나  02)780-0262 로 또는  tepikr@gmail.com 으로 문의, 상담 신청을 하면 된다. ■  12월 7일 스탠퍼드 ■  12월 8일 미들버리 ■  12월 10일 코넬,  ■  12월 12일 에모리, 프린스턴, ■  12월 13일 콜게이트, 컬럼비아, 유펜,  ■  12월 14일 존스홉킨스,  예일 ■ 12월 15일  앰허스트, 보스턴 유니버시티, 브랜다이즈, 카네기 멜론, 데이비슨, 듀크, 해밀톤,하비머드,MIT, NYU, 노스웨스턴,  포모나, 스와츠모어, 터프츠, 밴더빌트, 윌리엄스,  ■  12월 중순(날짜 미 확정) 뱁슨, 버나드, 브라운, 칼텍, 다트머스,조지타운,하버드, 노틀데임, 옥시덴탈, 시카고, 바사, 워싱턴앤리, 웰슬리, ■  12월 20일 튜레인 ■  12월 24일 미시간 ■  12월 25일 보스톤 칼리지 ■  1월 31일 UVA

<축 합격! 그리고 장학금> "연간 4만5200달러 장학금 받았어요"

미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 데니슨 대학에서... 학비로 400여만원 내면 되는 많은 장학금 받아내. . 미래교육연구소에  월요일 아침부터 기쁜 소식이 들려왔다. 미래교육연구소에서 미국 대학 지원 및 장학금 컨설팅을 받고 있는 A가 미국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인 Denison University에 합격과 함께 재정보조(Financial Aid:장학금) 4만 5200달러를 받았다. 데니슨 대학 학비는  $49,310이고 이 가운데 4만5200달러를 재정보조로 받았다. 학자금 기준4100달러. 400여만원만 내면 된다.  - 오하이오주에 있으며  1831년 설립된  남녀 공학 리버럴 아츠 칼리지. - 지적이고  도전적인 대학으로 이 대학의 연구 프로그램은 독창적인 연구 기회를  준다.  이 대학은  고도로 동기부여된 학생들을 위한 학교다. - 360에이커의 생물학적 보호 구역이 있는 언덕 아래 캠퍼스는 한마디로 그림이다.  오하이오주 주도인 콜럼버스로부터 25분밖에 안 떨어진 중서부 마을에 위치해 있다. -혁신적인 학술 프로그램에는 글로벌 상거래, 데이터 분석, 재무 경제, 서술 저널리즘, 건강, 연습 및 스포츠 연구 등이 있다. -데니슨 인턴십 프로그램은 여름 동안 전국 300개 이상의 직업 탐사를 위한 사이트를 제공한다. -새로운 마이클 D. 아이즈너 아트 센터는 2019년에 문을 열며 음악, 무용, 연극 등의 학과를 위한 첨단 시설을 제공한다. -전임 교수진의 100%가 그들의 분야에서 가장 높은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연구 중심대학처럼 조교가 없다. 모두 교수가 직접 가르친다. - 데니슨은 53개의 전공과 4개의 프리 프로페셔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대학은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매우 우수한 대학이다. 미래교육연구소가 자신있게 추천하는 대학 가운데 하나로 매년 많은 학생들이 지원하고, 또 많은 장학금을 받고 있다.  미래교육연구...

'내가 모르는 대학'은 '좋지 않은 대학'인가?

포모나, UC 버클리 가운데 미국인 82%가 포모나 선택 한국인들이 모르는 1류 대학 많아. 미국 대학을 비롯해 홍콩, 일본 대학의 2019학년도 대학 입학 원서 접수가 진행 중이다. 아직 원서를 넣지 않은 학생들에게 가장 큰 고민은 지원할 대학 선정이다. 어떤 대학에 지원을 해야 할까?  한국 대학들 가운데  거의 모르는 대학이 없다. 그러나 미국 2800여 개, 일본 1200여 개 대학 가운데 한국인들이 아는 대학은 얼마나 될까? 한국 학부모와 학생들은 자신이 아는 대학은 좋은 대학, 모르는 대학은 좋지 않은 대학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갖고 있다. 미국 대학  가운데 밴더빌트, 노틀 데임, 웨이크 포레스트, 케이스 웨스턴, 윌리엄 앤 메리,  보든, 칼튼, 미들버리, 스와츠모어, 포모나 대학을 아는 한국인들이 얼마나 될까? 위에 언급한 대학들은 미국에서 명실 상부하게 1그룹에 속하는 명문 대학들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은 state가 들어가는 '주립대학'들은 잘 안다. 그리고 매우 좋은 대학이고 생각을 한다. 한마디로 엄청난 착각이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자. 만일 자녀가 UC 버클리와 포모나 칼리지에 동시에 합격을 했다고 하자. 한국인들은 100명이면 100명 모두 UC 버클리 대학에 가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포모나 82%, UC 버클리 18%로 선택을 한다. 포모나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압도적으로 많다. 왜? 그것은 포모나가 UC 버클리 보다 훨씬 더 좋을 뿐 아니라 미래를 더 잘 열어 줄 것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대학을 선택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다. 1) 학비 2) 명성 3) 교육의 질 4) 졸업 후 취업 5) 날씨 6) 위치 8) 대학 크기 등등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교육의 질은 양보할 수 없는 요소다. 그런데 한국 학부모들은 명성에 너무 꽂힌다. 명성은 모든 것을 버려도 괜찮을 만큼 비중을 둔다.   그래서 내가 아는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다....

<美 대학 장학금> "장학금 신청하면 떨어지나?"… 레귤러 장학금 신청하기

'장학금 신청하면 떨어진다' 공포 마케팅에 속지 마라 편입 때도 장학금 신청 가능하다 미국 대학들의 레귤러 지원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불과 1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에도 얼리 지원 시 재정보조/장학금 신청을 하지 않은 학부모들이 많다. "장학금 신청을 하면 대학에 떨어진다"라는 학부모들의 잘못된 정보와 일부 유학원들의 '공포 마케팅' 때문이다. Need Aware라는 정책을 잘못 이해했기 때문이다. '장학금을 신청하면 떨어진다'. 과연 근거 있는 말일까? 또한 가난한 가정에서 재정보조/장학금을 받지 않으면 다른 해결 방법이 있을까? ■ '장학금 신청하면  떨어진다'라는  공포 마케팅이다. 분명 장학금을 신청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불리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재정보조를 신청했다고 해서 무작정 떨어트리지 않는다. 가정의 경제 상황에 따라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성적도 나쁜데 높은 학교를 쓴 경우다. 이런 경우는 재정보조/장학금을 달라고 하지 않아도 떨어진다. 그러나 많은 학부모들이나 유학원들은 "장학금을 달라고 해서 떨어진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 것이다. 장학금을 달라고 하지 않고 합격을 했다고 치자. 그렇다고 해도 학비를 감당할 수 없다면  결국 대학에 등록을 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학비 조달을 못하는 상태로 합격한 것이나 장학금을 달라고 해서 떨어진 것이나 대학에 등록을 못하는 것은 같다. 합격하고 못 가는 상황을 맞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맞는 대학을 선택하고 재정보조/장학금을 달라고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 다른 방법은 없을까? 1) 저렴한 대학에 지원을 한다. 학비가 저렴한 대학에 지원하는 방법 밖에 없다. 미국 대학들이 모두 학비가 비싼 것은 아니다. 총비용이 2만 달러 내외인 대학도 많다. 그렇다고 아이비리그급 대학은 아니지만 또 형편없는 대학은 아니다. 따라서 재정보조를 받을 형편도 아니고 그렇다...

<미국 대학> 내가 지원할 대학 합격 가능성 점검하기

12학년들은 얼리 지원을 끝내고 레귤러 지원이 한창이다.  부모들을 상담하다 보면  아이가 지원하는 대학의 합격 가능성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들이 많다. 예를 들어 "우리 아이가 GPA는 3.8이고 SAT 점수는 1450점인데 미시간 대학 합격 가능성이 얼마나 되나요?"라는 질문을 받는다. 미국 대학 진학과 관련한 많은 사이트들이 있다. 이 가운데는 매우 유용한 사이트들이 있다. 예를 들어 프리스칼라라는 사이트는 아이의 GPA 점수와 SAT 점수를 갖고  각 대학별 합격 가능성을 점검해 준다. 칼리지 심플 닷컴은 각 대학별 마감일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오늘은 프리스칼라닷컴을 이용해 합격 가능성을 점검하는 방법을 알려드린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그냥 심플하게 보는 것이지 정밀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미국 대학들은 단순하게 학교 성적과 SAT,ACT점수만 갖고 입학 사정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상위권 대학들의 경우 여러 가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이렇게 단지 성적과 표준화 점수만 갖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의미를 굳이 찾자면 학업성적이 부족할 경우 아무리 비학업적 요소가 뛰어나도 합격이 어렵기 때문에 1차로 가능성을 점검해 볼 수 있다. GPA가 낮고, SAT 조차 낮으면 합격 가능성은 없다고 보면 된다. ■ GPA 3.5, SAT 1450점 학생이 미시간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은? 이 학생이 미시간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은 12.33%로 나왔다.  이 경우라면 상향도 아주 심한 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다른 비학업적 요소마저 나쁘다면 합격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 ■ GPA 3.8, ACT 34점 학생이 브라운 대학에 합격할 가능성은? 이 학생의 브라운 대학 합격률은 11.63%다. 이 정도 수치라면 Reach다. 합격 가능성은 매우 낮다.  브라운 대학 합격자의 ACT 평균은 32점이다. 그리 높지 않다. 평균 GPA는  4.03이다. 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