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SAT고득점인 게시물 표시

여름방학동안 특강 듣는다고 SAT 성적 상승 기대하지 마라

SAT 단기간 공부한다고 점수 대폭 오르지 않아 SAT는 외워서 푸는 문제가 아니라 독해력 문제이기 때문 여름 방학 때 SAT 공부 말고 할 일 많아 이번 가을에 원서를 쓰는 11학년들 가운데 이번 여름 방학을 'SAT 점수 대폭 올리기' 기회로 삼고, 야심 차게 SAT 학원에 등록하는 학생들이 많다. SAT 학원들도 100-200점 이상을 올려주겠다고, '홍보'를 한다. 필자와 미국 대학 입시 상담을 하는 학부모들은 "이번 여름에 점수를 대폭 올려서 지원 대학을 올려야 하겠다"라고 말을 자주 한다. 정말 여름 방학 SAT 특강을 들으면 기대만큼 점수가 쑥---쑥----오를까? 물론 그런 기대감 속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또한 학부모들의 기대처럼 SAT 점수가 쑥---- 오르면 지원할 대학을 대폭 바꿀 수 있을까? 즉 그저 그런 대학에서 '일류' 대학으로 리스트를 바꿀 수 있을까? 1) SAT 학원에 가면 정말 점수가 대폭 오를까? 좀 실망스러운 이야기가 될지 몰라도, 방학 때 SAT 특강을 들어서 점수를 대폭 올리겠다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SAT'가 어떤 시험인지? 어떻게 구성된 시험인지, 시험의 성격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다. 이 시험은 근본적으로 학부모들이 대학에 갈 때 치렀던 한국 대학 수학 능력시험과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SAT는 한마디로 '독해력 시험'이다.  이 시험은 독서를 기본적으로 많이 하지 않은 학생들은 고득점을 할 수 없다. 이 시험은 독해력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 데, 독해력이 딸리면 아무리 학원에 다녀도 고득점은커녕, 점수의 변동이 거의 없다. 그런데 독해력은 단시간 내에 절대로 올릴 수 없다. SAT 수학도 독해력을 바탕으로 한 문제다. 물론 일부는 계산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절반 이상은 독해력이 바탕이 된다.  물론 SAT 학원에 다니면서 많은 문제를 풀어보면 어느 정도까지 점수가 올라간다. 그러나 그 점수 폭은 학생...

1926년에서 2021년까지, SAT의 변화를 알아보자

1926년 첫 SAT 시험 실시 2016년 2400점에서 1600점으로 큰 변화 SAT 고득점 독서가 기본, 학원 다닌다고 보장 못 해 미국 대학 수학능력 시험인 SAT 첫 시험이 치러진 것은 1926년이다. SAT 시험의 꼴이 갖춰지기 전인 1901년에 첫 대학 입학을 위한 논술 시험이 실시됐다. 미국 67개 지역에서 973명의 미국 학생과 유럽 학생 2명이 칼리지 보드가 시행한 논술 시험을 보았다. 그때까지 각 대학들은 대학별로 입학시험을 별도로 치렀다. 학생들은 자기가 가고 싶은 대학에 가서 직접 시험을 보았다. 대학별 고사다. 한국도 수십 년 전에 이와 비슷한 대학별 본고사가 있었다.  그러다 미국 북동부에 있는 대학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인 College Board는 아이비리그와 세븐 시스터즈 대학(7개 여자 명문 대학)의 커리큘럼에 기초하여 전국적으로 관리되는 획일적인 논술 시험 세트(SAT)를 만들기 위해 1900년에 설립되었다. 1901년에 처음 치러진 논술 시험에 응시한 사람들은 대부분 명문 사립 고등학교 출신들이었다. 이 학생들 가운데 60%가 컬럼비아 대학에 진학을 했다. 이때 시험은 객관식이 아니라 논술형 시험이었다. SAT의 첫 번째 시험은 1926년 6월 23일에 치러졌다.  우생학자이자 프린스턴 심리학자 칼 캠벨 브리검이 이끄는 위원회가 준비했다.  300개가 넘는 시험장에서 8,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이 시험을 보았다. 수험생의 60%는 남학생이었다. 시험을 본 학생의 25% 이상이 예일 대학과 스미스 대학(여자 대학임)에 지원했다. 수험생들은 315개 문제를 90분에 풀어야 했다.   그 뒤 수많은 우여곡절을 거쳐 SAT가 발전해 왔고, 2005년 5월에 우리가 Old SAT라고 하는 형태의 2400점 만점으로 바뀌었다. 이때 영어 시험은 비판적 독해(Critical Reading)이라고 했다. 5지 선다형으로 틀리면 감점을 하도록 돼있다. SAT에 대한 여러 요구가 제기됐고, 고등학교 교...

SAT 시험은 방학때 잠깐 학원 다니는 것으로 점수가 오르지 않는다

 필자가 미국 대학 수학 능력시험인 SAT에서 고득점을 하려면 독서가 기본이라고 블로그와 유튜브 그리고 개별 상담을 통해 수없이 강조하고 반복해 말했다. 지금은 이를 이해하는 학부모들이 많아졌다. 그런데도 여전히 SAT 고득점을 하려면  SAT 학원에 다녀야 한다며 평소에는 아무것도 안 하는 학생들이 태반이다. 방학 때 한국에 와서 한 달만 SAT 학원에 다니면 점수가 오를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천만의 말씀!!!! 이분들은 SAT 시험이 어떤 구조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들이다. SAT는 외워서 푸는 문제가 아니라고 했다. 수학도 그냥 계산하는 문제가 아니라고 했다. 기본적으로 독해 능력이 없으면 문제를 풀 수 없는 구조다. 한국 학부모들이 국내 대학에 들어갈 때 봤던 한국 대학 수학능력 시험과 근본적으로 문제 구조가 다르다. 그런데 상당수 학부모들이 여전히 마이동풍(馬耳東風)이다.  할 수 없다.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길로 가시면 된다. 그러나 필자를 신뢰하는 분들에게 오늘 다시 한번 고득점을 할 수 있는 준비 방법을 알려드린다. 독서다. 오늘은 10학년들이 기본적으로 읽어야 할 독서 리스트를 드린다. SAT 영어 독해 문제는 4영역에서 지문이 나온다.  문학, 역사, 과학, 사회 이슈다. 오늘은 문학에 대한 읽기 능력을 올릴 수 있는 10학년 영어 필독 소설을 소개한다. 10학년들의 독해 능력은 1250L이다. 이 수치가 무엇인가에 대해 잘 모르는 학부모들이 있을 것이다. 사람에게는 지능지수가 있듯이 독해 능력 지수가 있다. 이것은 IQ처럼 수치로 나온다. 테스트를 해 보면 10학년들의 렉사일 중간치는 1250L이다. SAT 시험을 제대로 보려면 1330L이 되어야 한다.  오늘 소개하는 책들은 1250L 이하인 책도 있고, 이 수치를 넘어서는 책도 있다. 따라서 학생별로 조금 난이도가 있는 책도 있고, 쉽게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  <10학년이 읽어야 할 미...

미국 명문 대학 진학을 위한 SAT 고득점 비결은?

 많은 학생들이 SAT 시험을 볼 때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독해다. SAT 점수는 최저 400점에서 최고 1,600점이다. 테스트는 영어, 수학 각각 200-800점 사이의 두 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 평균 점수는 1,059점, 섹션별로는 영어 증거 기반 읽기 및 쓰기의 평균점은 531점, 수학은 528점이었다. 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은 첫 시험 성적을 기반으로 학원에서 열심히 공부를 하면 200점 이상 오를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SAT 학원들이 그렇게 '마케팅'을 한다. 300점도 올려준다고.... 그러나 학생들이 받은 첫 점수에서 지원할 대학 리스트가 보인다.  실제 통계를 보면, 첫 시험 성적에서 100점 이상 오르는 학생은 소수에 불과하다. 보통 점수의 변동 폭은 30점에서 많으면 50점 내외다. 그래서 첫 시험 성적이 사실상 대학을 결정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SAT는 외워서 푸는 문제가 아니라 독해력 문제 이기 때문이다.  SAT는 독해 지수, 1330 렉사일(Lexile)이 나와야 문제의 지문이 읽힌다. 이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아무리 학원에 다녀도 SAT 영어 섹션의 지문이 읽히지 않는다. 지문이 읽히지 않는 상황에서 문제를 아무리 풀어도 점수는 나오지 않는다. 결국 독해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아무리 학원에 다녀도, 3-5번 시험을 봐도, 점수는 정체 상태다.  점수를 단기간에 올릴 수 있는 영역은 수학 영역과 영어 문법 영역, 즉 Writing 영역이다. 이 부분에 집중하면 점수는 다소 올라갈 수 있다. 결국 전체적으로 보면, 올라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점수는 30-50점 내외다. 이는 수천 명을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결과다.  그렇다면 고득점을 내려면 어떻게 하나? 필요한 것은 독서이고, 독서 능력을 길러야 SAT 점수가 올라간다. ACT도 마찬가지다. ACT도 독해력 문제다. ACT는 리딩의 지문이 길어서 더욱 독해력이 있어야 하고 읽는 속도...

SAT에 커브가 있다는 학원들... 실제로는 다르다

 SAT 다른 학생 점수로, 내 점수 영향 안 받아 특정 달이나 특정 지역에서 시험 본다고 유 불리 없어 최근 필자는 11학년 학부모 한 분을 상담했다. 아이가 SAT 점수가 오르지 않아서 걱정이라며 5월은 커브가 나쁘니 안 보고 8월에 보라고 학원 선생님이 이야기했다고 한다.  '커브?' 그게 뭔데? . . . . 필자가 유튜브와 블로그를 통해서 그렇게 여러 번 설명을 했는데도 아직도 SAT 학원 설명회에서 잘못 들은 정보들을 많은 학부모들이 커브를 말하고, 특정일에 보면 점수가 불리하다고 말한다. 이 거짓말들을  사실인 양 믿고 있다. 다시 강조하지만 내 SAT 점수는 다른 학생의 SAT 성적에 따라  좌우되지 않는다. 이 이야기는 SAT가 상대평가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런데 아직도 일부 '무지한' SAT 학원 원장들의 설명회 강의를 들은 학부모들이 SAT 커브 이야기를 하며 특정 달에 보면 점수가 나쁘게 나온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학원 원장들은 유튜브와 블로그에 서슴없이 이런 엉터리 정보를 올리고 있다. ■ SAT는 어떤 시험일까?=유튜브 SAT는 상대평가가 아니기 때문에 커브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개개 시험의 난이도가 있어서 칼리지보드는 이를 조정한다. 이는 상대 학생의 점수에 따라 내 점수가 달라지는 게 아니고, 그날 본 시험지의 난이도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수학을 4개 틀리고도 높은 점수를 받는데, 2개를 틀렸는데 점수가 낮아지기도 한다.  SAT 시험은 어느 지역에서 보건, 어떤 달에 보건 유불리가 없다. 내 실력대로 점수가 나온다. 제발 부탁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SAT의 거짓 정보를 가려서 보기 바란다.  다시 말하지만 SAT는 어느 날 벼락치기 공부를 한다고 점수가 오르지 않는다. 여름방학 한두 달 SAT 학원에 다닌다고 기대만큼 SAT 점수를 얻기는 어렵다. SAT 시험 구조가 그렇다.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공부를 해야 하고, 무엇보다 독해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

SAT 만점 선배가 알려주는 고득점 비법은?

 SAT, ACT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방법을 알고 싶은가? 학교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학원을 다니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은 SAT 시험에서 고득점을 받으려면 학원을 가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오늘은 실제 SAT 시험에서 만점을 받은 학생들이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했으며, 무엇이 도움이 되었다고 한지 알아본다. SAT 시험에서 만점을 받은 300명의 학생들이 10가지의 공부 방식 중 3가지를 선택한 것이다. SAT 만점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1위는 바로 첫번째 문항, Tip 1 : Read Everything(무엇이든 읽어라: 50%)였다. 무려 50% 학생이 꼽았다. 왜 이렇게나 많은 학생들이 읽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을까? ■ SAT/ACT 고득점 비결= 유튜브 SAT/ACT 시험은 구조상 외워서 푸는 문제가 아니다. SAT 영어 시험을 우리는 Evidence Based Reading Test라고 한다. 증거 기반에 의한 시험이다. 이는 쉽게 말해서 지문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를 말한다. 지문에서 답을 찾으려면 그 지문이 이해가 되어야 한다. 즉 독해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시험이라는 이야기다. SAT 시험 고득점의 기반은 독해 능력이고 독해 능력은 책을 읽어야 한다. ACT도 똑같다. 지문이 SAT보다 길고 문항수도 많다. 독해 능력뿐 아니라 독해 속도도 필요하다. 그런데 학원에 간다고 독해 능력이나 독해 속도가 오르는 것은 아니다. SAT 학원은 오로지 문제 풀이를 해 주기 때문이다.  ​두 번째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 것은  Tip 2 : Buy SAT books , Take practice test (SAT 교재를 구입하여 모의 테스트를 쳐라 : 42%)이다. 42% 학생이 추천을 했다. 문제집을 사서 많이 풀라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다. 시중에 많은 문제집들이 나와있다. 어떤 학생들에게 어떤 문제집을 풀고 있느냐고 물으면 학원에서 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