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으로 통하는 창문, 인터넷 통제 학교에서 컴퓨터 소지 못해, 여학생 기초화장도 금지 미래교육연구소에 최근 국제 학교 진학 문의가 폭주하고 있다. 그만큼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크다는 이야기다. 공교육 시스템이 싫어서 국제 학교로 가려는 데 국제 학교라고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국제 학교들 가운데 문제가 없는 곳은 한곳도 없다. 다 크고 작은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덜 하냐 더 하냐의 문제다. 오늘은 학교 선택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려고 학교에 얽힌 에피소드 하나를 소개한다. 이 학교의 이름은 공개할 수는 없다. 그냥 A 학교라고 하자. 한번 함께 생각해 보자는 의미에서 발제를 한다. 이 학교는 신앙의 이름으로 기독교 학교를 표방하는 학교다. 그런데 학교 교육 환경이 중세 시대 봉쇄 수도원과 비슷하다. 첫 번째, 이 학교 학생들은 컴퓨터를 가질 수 없다. 학교 내에서 인터넷도 못한다. 이 학교에 들어오면 모든 인터넷은 차단된다. 이 학교 교사들은 인터넷을 악으로 규정한 것 같다. 세상의 흐름과는 전혀 다른 발상이다. 인터넷은 세상으로 통하는 창문이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그렇다. 인터넷이 해악이 있다고 막는 것은 광우병 걱정에 소고기를 못 먹게 하는 것과 같다. 아마 대한민국 학교 가운데 학생들에게 컴퓨터를 소지하지 못하게 하고, 인터넷을 막는 학교는 이 학교가 유일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인터넷을 막아버리면 KT 아현동 화재로 수십만 가구가 정상적인 생활을 못했던 며칠 전 '통신 대란'과 같은 상황에 놓이는 데 학생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학교의 방침에 따를 수밖에 없다. 초중고 학생들은 인터넷을 통해 공부를 해야 할 것들이 많다. SAT 공부도 학원에 안 다니고 인터넷으로 할 수 있다. AP 과목도 인터넷으로 할 수 있다. 교과 수업 자료도 찾아야 한다. 그런데 신앙이란 이름으로 인터넷을 막는다. 이 글을 읽는 여러 학부모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결국 이런 환경에 오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