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미국대학갭이어인 게시물 표시

미국 대학 대기자 명단에 올랐는데, 재수하거나 CC로 가야 할까요?

웨이팅 풀기 쉽지 않다. 우선 합격대학 등록하라 CC로 가기보다 수시 지원 4년제에 도전하라 갭이어로 재수도 생각해 보라 다음은 MIT에서 25년간 면접관으로 자원봉사를 했던 분이 위 질문에 답을 한 것이다.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옮긴다. 개인적인 의견이기 때문에 꼭 맞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도움이 될 것 같아 소개를 한다. <편집자 주> 저는 MIT의 자원봉사 대학 면접관이고 약 25년 동안 이 일을 해왔습니다. 제 답변은 MIT의 대기자 명단에 있는 학생들에게 말하는 것에 기초할 것입니다. MIT와 브라운은 매우 합격률이 낮은, 즉 입학하기 여러운 대학입니다. 따라서 브라운 대학 웨이팅 학생에게도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단계. 학생은 브라운 대학 웨이팅이 풀릴 것만을 기대하지 말고 입학 허가를 받은 다른 대학들 중 한 곳의 입학 제의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왜냐하면 브라운 대학의 대기자 수는 엄청나게 많아서 풀릴 가능성은 학생이 생각하는 것보다 아주 낮기 때문입니다. 대기자가 풀리지 않을 것을 상정하고 다른 대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게 바로 합격한 대학 가운데 한 곳에 우선 등록을 하라는 것입니다. ​ 2단계. Brown Admissions 오피스에 편지를 써서 브라운 대학에 정말 관심 있다는 것을 알립니다. 합격시켜주면 꼭 등록을 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여주어야 하지요. 만약 당신이 매우 유리한 보충 자료를 가지고 있고 브라운 대학이 이를 받겠다고 한다면 그것을 대학에 보내십시오. 대학에 꼭 알려야 할 자신의 장점이나 특기, 수상 경력 등을 미처 보내지 못했다면 완벽하게 정리를 해서 보내도록 하세요. 3단계. 정말 운이 좋아서 브라운이 추가합격 통보를 해 오면 이미 등록한 대학에는 등록 취소를 알리십시오. 그런 경우 이미 납부한 보증금은 돌려받지 못할 것입니다. 그래도 기쁜 일이 아닌가요? 위 학생이 브라운에 추가 합격이 안 되면 커뮤니티 칼리지로 갈 것이라고 했는데 나는 동의하지 못합니다. 아직 ...

편입할까? 갭이어 할까? 미국 대학 등록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미국 대학 등록을 앞두고 학부모들의 상담 요청 전화가 쇄도한다.  등록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한다면 어느 대학에 등록을 할 것인가? 이후 갭이어를 할 것인가? 아니면 편입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때문이다. 성적이 최상위권인 학생 가운데 지원한 상위권 대학에 모두 불합격된 경우 많다. 안정권으로 넣었던 대학 1-2개만 합격을 했고, 이런 경우 등록을 안 하고 재수를 할 것인가? 갭이어를 할 것인가?  일단 등록을 하고 다니다 편입을 할 것인가다. 갭 이어와 재수, 편입은 무엇이 다를까?  합격한 대학이 없으면 무조건 '재수'를 할 수밖에 없으나 자기가 생각했던 대학의 수준이 비해 영 낮은 대학에 합격을 했을 경우 아예 등록을 하지 않을 것인가? 등록을 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을 하게 된다. 마음에 안 드는 대학, 혹은 영 형편 없이 낮은 수준의 대학이라도 합격한 학생들은 고민이 크다. 꼭 가고 싶은 대학이 아닌 보험 차원에서 지원한 대학에 합격을 했다면 이런 고민이 크다. 모두 버리고 깨끗하게 재수를 할 것인가? 아니면 일단 대학에 등록을 하고 갭 이어(재수)를 할 것인가? 아니면 1,2학년을 다니면서 편입을 할 것인가. 오늘도 여러 통의 메일을 통해 이런 고민을 들었다. 갭 이어는 1년이라는 시간을 버리게 되지만 입학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편입은 시간을 벌게 되지만 편입 가능성은 낮다. 그래서 필자는 이렇게 정리를 한다. 높은 수준의 대학, 적어도 20위권 이내 대학에 지원을 했다가 떨어진 학생이라면 갭이어를 하는 게 낫다. 이런 높은 수준 대학의 경우 편입의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립대학에 모두 떨어지고 다시 가려고 한다면 이 경우는 편입이 훨씬 유리하다.  학생마다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이렇게 하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서 진로를 여러 각도에서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미래교육연구소는 교육 전문 컨설팅 기관이고 학생들의 저마다 다른 사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