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가 8월에 보딩 스쿨로 떠납니다. 영어라고는 한국 학원에서 배운 것 밖에 없는 데 영어가 걱정입니다. 현재 중학교를 중퇴한 상태라서 시간이 많이 남습니다. 누구는 한국의 토플 학원에 다니라고 하고, 누구는 어학 연수를 떠나라고 하는 데 어느 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일 2-3달 동안 어학연수를 떠난 다면 어느나라로 가는 것이 좋을까요?" 이 학생은 보딩스쿨에 가는 한국 토종학생이다. 국내 국제학교나 일반고를 졸업하고 미국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의 경우도 이런 질문을 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꽤 있다. 영어는 등산에서 신발과 같다. 신발을 신지 않으면 등산을 할 수 없다. 외국 유학을 가는 학생이 영어 실력이 부족하면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다. 따라서 무엇보다 해외 유학을 생각하거나 떠나는 학생들은 영어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외국인이 하나의 다른 언어를 배울 때 '2000시간의 법칙'이라는게 있다. 한국인들이 초등학교에서 대학교 졸업할 때까지 그 긴시간 동안 영어를 배웠으면서도 외국인을 만나면 피하는 것이 바로 영어를 배운 총 시간이 2000시간에 미달되어 영어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영어 배우기 2000시간의 법칙"은 영어 학습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법칙에 따르면, 영어를 모국어 수준으로 습득하는 데 약 2000시간의 학습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학습 시간의 정의: - 2000시간은 집중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시간을 의미한다. - 단순히 영어에 노출되는 것 이상으로, 능동적인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개인차의 고려: - 2000시간은 평균적인 학습자를 기준으로 한 가이드라인이다. - 개인의 학습 속도, 능력, 환경 등에 따라 필요한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학습 방법의 중요성: - 2000시간을 채우는 것 못지않게 학습의 질이 중요하다. - 효과적인 학습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