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아이비플러스인 게시물 표시

미국 명문 대학은 보통 대학과 교수:학생 비율이 다르다고?

교수 학생 비율 낮으면 교육의 질 높을 가능성 커 명문 사립대 비율 낮고, 주립대는 높아 하버드 6:1, 칼텍 3:1,  조지아텍 21:1 교육 종합 컨설팅 기관인 미래교육연구소는 오늘부터 시리즈로 명문 대학과 보통 대학을 구별할 수 있는 지표들을 소개한다. 첫 번째로 교수와 학생 비율이다. 즉 그 대학의 전체 교수 수와 전체 학생의 비율이다. 이 수치가 낮으면 그만큼 교육의 질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꼭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임 교수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수가 많아도 전임교수가 작으면 교육의 질은 낮을 수 있다. 미래교육연구소가 제공하는 시리즈를 통해 학부모들이 명문 대학을 고를 수 있는 안목을 키우기를 바란다. <편집자 주> 미국 대학이 몇 개인지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없다. 통계마다 다 다르다. 어떤 자료는 2800여 개, 또 다른 자료는 5000여 개, 많은 경우 7000개가 넘는다는 자료도 있다. 필자가 자의적이지만 이들 대학을 그룹으로 나눠보면  ▶명문 대학, ▶꽤 좋은 대학, ▶그저 그런 대학, ▶형편없는 대학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이런 구분을 어떻게 무엇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학부모들은 '내가 많이 들어본 대학', '주변에서 좋다는 대학'을 명문 대학으로 안다. 그 가운데서도 아이비리그 대학을 최고 명문 대학이고 생각을 한다. 사람들은 뉴욕에 있는 사립 NYU라는 대학을 명문 대학으로 생각하면서도 테네시 주에 있는 사립 대학 밴더빌트는 들어보지도 못한 형편없는 대학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밴더빌트 대학에 합격을 했으면서도 NYU 합격한 친구들을 부러워한다. 정말 밴더빌트 대학은 듣보잡대학이고, NYU는 명문 대학일까? 정확히 이야기를 하면 명문 대학의 순서가 바뀌었다. 밴더빌트가 월등히 좋은 명문 대학이다.  그렇다면  최고 수준의 명문 대학과 꽤 좋은 대학, 그리고 그저 그런 대학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일까?  어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