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설정의 오류는 심각한 결과 초래 가고 싶은 대학만 쓸 경우 모두 불합격 될 수 있다 A 군과 그 부모 두분이 미래교육연구소를 찾았습니다. 상담을 1시간 동안 진행하면서 무척 답답함을 느꼈습니다. A군은 현재 보딩스쿨 11학년으로 지난해 조기 유학을 간 상태입니다. 이 학생의 GPA는 누적 비가중치 GPA가 3.5이고 AP는 3개 정도 들었습니다. SAT는 1250점을 받은 상태였습니다. 학교에서 한 활동을 보면 그저 그런 예를 들면 크로스 컨츄리 Varsity와 오케스트라, 토론 클럽 정도였습니다. 부모님과 학생이 가져온 학교 리스트를 보니 Harvard, Stanford, Brown 등등의 최상위권 대학 10개 정도에 최하단이 NYU였습니다. 모두 1-2그룹의 매우 합격 가능성이 낮은 대학 일색이었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이 부모가 가져온 지원하고 싶은 대학 리스트를 보고 뭐라고 조언을 하겠습니까? 많은 부모들이 자녀의 대학 선택 과정에서 '가고 싶은 대학'과 '갈 수 있는 대학'을 혼동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자녀의 꿈을 응원하는 마음과 현실적인 상황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1. 가고 싶은 대학만 지원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 이렇게 '가고 싶은 대학'에만 집중하는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 한마디로 모두 불합격되어 대학 진학이 좌절되지요. 즉 목표 설정의 오류는 심각한 결과를 낳습니다. 자녀의 능력이나 적성, 준비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자녀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와 좌절감을 줄 수 있습니다. 현실적인 대안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고 싶은 대학'에만 집중하다 보면, 다른 대안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게 되고, 만약 목표 대학에 불합격했을 경우, 적절한 대안을 찾지 못 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 재수를 하게 되는 데 이런 상황에서도 눈높이를 전혀 낮추지 못하는 학부모와 학생을 봅니다. 욕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