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런 미국 명문 사립대학은 어때? 리하이 대학& 페퍼다인 대학

두 대학 모두 US 랭킹 49위 

중간 크기의 명문 사립대학



필자가 미국 대학 입시 컨설팅을 하면서 자주 인용하는 말이 "내가 아는 게 다가 아니다"이다. 또한 필자는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인다"란 말도 자주 인용한다. 오늘 소개하는 두 개 대학은 일반 한국 학부모들이라면 들어보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종종 필자가 상담한 학부모들 가운데 이 두 개 대학에 아이 원서를 넣겠다고 해서 필자를 깜짝 놀라게 했다.

리하이 대학(Lehigh University)  페퍼다인(Pepperdine University)은  2021년 유에스 뉴스 미국 대학 랭킹에서 나란히 49위를 기록했다. 이 두 대학은 매년 순위가 같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조지아 대학( 50위),  오하이오 주립(OSU)( 54위), 펜스테이트 대학, 퍼듀대학( 57위) 등이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잘 아는 명문 주립대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사립대학들이다. 오늘 소개하는 리하이와 페퍼다인은 모두 사립대학들이다. 

한국 학부모들이 주립대학들은 어지간히 안다. 많은 한국 학생들이 진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수준의 사립대학들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한다. 오늘 이 두 명문 사립대학을 소개한다.






13 ) Lehigh University( 리하이 대학)

이 대학의 홈페이지 URL은 https://www1.lehigh.edu/about


*개요

리하이 대학교(Lehigh University)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베들레헴에 있는 사립 연구 중심 대학이다. 1865년 사업가 아사 패커에 의해 설립되었다. 학부 과정은 원래 남자 대학이었으나 1971-72년 학년부터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 2019년 현재, 이 대학은 5,047명의 학부생과 1,802명의 대학원생이 공부하고 있다.  Lehigh에는 5개의 대학이 있다: P.C. 로신 공과대학, 예술 과학대학, 경영 대학, 사범대학, 보건 대학이다. 예술 과학대학에 이 대학 전체 학생의 35%가 재학을 하고 있다. 

Lehigh University에는 총 5,178명의 학부생이 재학 중이며, 캠퍼스 규모는 2,355 에이커이다. 2021년판 베스트 칼리지에서 리하이 대학은 49위를 기록했다. 수업료와 수수료는 55,260달러이다.

Lehigh University는 필라델피아에서 북쪽으로 50마일, 뉴욕에서 서쪽으로 75마일 떨어진 Bethlehem에 위치해 있다. 이 대학의 스포츠는 작은 대학이지만 유명하다. Lehigh Mountain Hawks는 패트리엇 리그의 멤버이며 25개의 NCAA 디비전 1 스포츠에 출전한다. 그들의 가장 큰 스포츠 경쟁상대는 20마일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리버럴 아츠 칼리지인 라파예트 대학이다.  모든 신입생은 캠퍼스 내 기숙사에서 생활해야 하며, 2학년생은 기숙사나 주택에서 생활해야 한다. Lehigh의 메인 캠퍼스는 South Mountain의 숲이 우거진 비탈에 위치해 있으며, 캠퍼스의 절반은 보존 지역이다.

Lehigh University에는 4개의 대학이 있으며, 수많은 학부 및 대학원 전공이 있다.  캠퍼스 보안 정책과 캠퍼스 범죄 통계의 진 클레리 공개법은 Lehigh에서 시작되었으며, 대학들이 캠퍼스에서 범죄를 드러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동문으로는 에스컬레이터를 발명한 제시 W. 리노, 그리고 건설회사가 골든 게이트 브리지, 조지 워싱턴 브리지, 파나마 운하, 뉴욕의 월도프-애스토리아 호텔 건설을 도왔던 하워드 맥클린틱과 찰스 마샬이 있다. 리하이 동문 및 교수진 가운데  퓰리처상 수상자, 풀브라이트 펠로우,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및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국립 과학 훈장 수상자, 대통령 자유훈장 수상자를 많이 배출했다.

교수대 학생 비율은 9:1로 매우 양호하다. 주립대학들 가운데는 20:1을 넘어가는 대학들이 많다. 


*랭킹

이 대학의 순위는 유에스 뉴스 2021년판 49위, 미국 내 잘 가르치는 대학 31위, 학비 대비 괜찮은 대학 21위, 혁신적인 대학 58위, 공학 전공이 좋은 대학 48위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입학 관련

Lehigh University 합격률은 32%다. 리하이대학교에 입학한 지원자의 절반은 1280-1450 사이의 SAT 점수 또는 29-33의 ACT 점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학 지원자의 4분의 1은 이 범위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1/4은 이 범위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지원 마감일은 1월 1일이다.

르하이 대학의 입학 관계자들은 학생의 내신 성적을 매우 중요한 입학 사정 요소로 여긴다. 가장 먼저 성적이 좋아야 한다. 또한 학교 석차도 매우 중요하게 본다. 추천서를 중요하게 본다.


*가장 유명한 전공

이 대학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전공은 Finance로 15% 학생이 전공을 하고 있다. 이어  기계공학 9%, 산업공학 5%, 회계학 5%, 마케팅 4%다. 





*학비 & 장학금

이 대학의 학비는 $55,260이다. 기숙사비는 $14,740이다. 리하이 대학의 등록금은 55,260달러로  전국 평균 등록금 40,793달러와 비교하면, 르하이 대학교는 더 비싸다.

기숙사 비용과  도서와 물품비, 교통비와 개인비 등이 포함했을 경우 Lehigh 대학의 총비용은 71,465달러이다. 이 대학은 재정보조를 주지만 기부금 규모가 큰 다른 사립대학에 비해서는 평균 학자금 보조 액수가 작다. 재정보조 평균은 23,720달러다.


*학교생활

백인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68.3%. 국제학생 비율은 9.2%로 다른 대학에 비해 낮다. 69개 나라에서 유학생들이 왔다. 2학년 귀환율은 93.4%로 일반 대학보다 높다. 이는 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말한다. 4년 졸업률은 80%, 6년 졸업률은 89.8%다. 이 대학을 졸업 후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이 많다.  23%가 대학원을 진학한다.


14) Pepperdine University (페퍼다인 대학)

이 대학의 홈페이지 URL은 https://www.pepperdine.edu/


* 개요

페퍼다인 대학교(Pepperdine University, pppprdrdann/)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말리부 인근에 위치한 기독교 교회(Churches of Christ) 계열의 사립 연구 중심대학이다. 즉 기독교 대학이다.  1937년 로스앤젤레스 남부에 있는 기업가 조지 페퍼다인에 의해 설립된 이 학교는 1972년에 말리부로 옮겨 확장되었다. 이 대학은 미국 캠퍼스 외에 해외에 많은 캠퍼스를 갖고 있다. 현재 말리부에 주 캠퍼스가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의 6개 대학원 캠퍼스, 워싱턴 D.C.의 센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중국 상하이, 영국 런던, 독일 하이델베르크, 이탈리아 플로렌스, 스위스 로잔에 캠퍼스가 있다.

이 대학은 1개의 학부(시버 칼리지)와 4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루소 법학대학원, 교육심리학 대학원, 그라자디오 경영 대학원, 공공정책대학원이다. 학부 학생은 3,583명이고  캠퍼스 크기는 830에이커이다. 그것은 한 학기에 기초한 학사일정을 활용한다. 페퍼다인 대학의 2021년판 베스트 칼리지 순위는 국립 대학 49위다. 수업료와 수업료는 58,002달러이다.

산타모니카 산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페퍼다인 대학교는 캘리포니아 말리부에 그림 같은 캠퍼스를 갖고 있다.  그 학교는 신약성서에 기초한 그리스도의 전통을 유지한다. 학생들은 한 학기에 14개의 영적 행사에 참석해야 하며, 페퍼다인 대학을 다니는 동안  적어도 세 개의 종교 강좌를 들어야 한다. 캠퍼스에는 소수 학생을 위한 기관뿐 아니라 기독교 교회도 있다. 교회 밖에서는 학교 스포츠 팀인 페퍼다인 웨이브스가 디비전 1 웨스트 코스트 콘퍼런스에 참가한다. 학생들은 라크로스, 테니스, 서핑과 같은 클럽 스포츠와 깃발 축구부터 배구까지 다양한 교내 스포츠도 할 수 있다. 약 3분의 1의 학생들이 12개 이상의  사교 모임에서 활동하고 있다.

말리부의 메인 캠퍼스는 로스앤젤레스는 차로 약 한 시간 거리에 있다. 이 학교는 많은 유명한 동문들 중에서 야구 선수 랜디 울프, 골프 선수 제이슨 올레드, 농구 선수 알렉스 애커, 비치발리볼 올림픽 메달리스트 니콜 샌더슨을 포함한 수십 명의 최고 선수들을 졸업시켰다.


*랭킹

페퍼다인은 유에스 뉴스 2021년 랭킹 49위다. 가장 잘 가르치는 대학 18위다, 또한 비용 대비  괜찮은 대학 46위로 좋은 기록을 갖고 있다. 가장 혁신적인 대학 50위에 올라 있다.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잘 된 대학 15위다.


*입학 관련 

페퍼다인 대학 합격률은 32%로 다소 어려운 대학이다.  페퍼다인 대학에 입학한 지원자 중 절반은 1230-1450 사이의 SAT 점수 또는 27-32의 ACT 점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학 지원자의 4분의 1은 이 범위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1/4은 이 범위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지원 마감일은 1월 15일이고 페퍼다인 대학의 원서 비용은  65달러다.

이 대학은 학생을 선발할 때  학생의 내신 성적, 즉 GPA를 매우 중요한 입학 사정 요소로 평가를 한다. 지원자의 고등학교 수업 순위는 고려되지 않지만, 교사 추천서는 입학 사정에서 중요한 요소다. 


* 유명 전공

이 대학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하는 전공은 비즈니스다. 무려 32%의 학생들이 전공을 한다. 이어서 사회과학 분야 전공이 9%를 차지한다. 


* 학비 장학금

이 대학의 등록금은 $58,002, 기숙사 및 식비는 $16,160이다. 이는 미국 전국 평균 등록금 40,793달러에 비해 비싸다. 책값, 교통비, 개인 용돈까지 다 포함한 총비용은 7만 5312달러 정도다. 


*학교생활

백인이 55.6%이고, 아시아인 종이 12.8%다. 1학년을 마치고 돌아오는 학생이 91%로 높은 편이다. 즉 학교 만족도가 높다. 4년 졸업률은 79.1%다.



■ 미래교육연구소 미국 대학 진학 컨설팅

오늘은 리하이와 페퍼다인 두 사립대학을 소개했다. 한국인들이 잘 모르지만 꽤 좋은 사립대학들이다. 대학의 크기가 중간 규모라서 학생들의 관리가 잘 되는 대학들이다. 미래교육연구소는 이 두 개 대학에 입학을 돕고 있다. 도움이 필요하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