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Washington University, 학비 전액 성적 우수 장학금 받기


 



우리가 흔히 와슈(Washu)라고 부르는 워싱턴 유니버시티 세인트 루이스 대학은 유에스 뉴스 랭킹에서 코넬 대학을 앞서고 있다. 그만큼 좋은 대학이다. 그런데 다른 미국 사립대학들이 그렇듯이 이 대학의 학비를 비롯한 총 비용은 매우 비싸다.



2022-23년 등록금이 5만9420달러이고 총 비용은 7만9060달러가 들어간다. 여기에 책값, 여행비, 용돈, 한국으로 오는 비행기값등이 추가로 들어간다. 이럴 경우 연간 비용은 1억원이 넘는다. 중산층 가정에서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비용이다.

이 대학은 미국 시민권자, 영주권자는 물론 국제학생들에게도 Need based Grant를 준다. 즉 가정의 경제 상황에 따라 보조금을 준다. 미래교육연구소는 지난해에 이 대학에 3명을 합격 시켰고, 그 가운데 한명은 연간 8만달러의 재정보조를 받게 해 주었다.



그런데 이 대학은 이렇게 가정 경제상황에 따라 주는 재정보조 외에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기위한 성적 우수 장학금을 굉장히 많이 주고 있다. 이 대학은 공식적으로 "워싱턴 대학교는 고등학교에서 우수한 학업과 과외 활동을 한 재능 있는 학생들에게 학업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즉 성적 우수 학생을 공식적으로 유치하려고 한다. 아이비리그 대학들이 성적 우수 장학금을 주지 않는 것과 대조적이다.

가정 환경에 따라 주는 재정보조는 반드시 신청을 해야 하다. 성적 우수 장학금은 별도로 신청하는 것이 있고 별도로 신청을 해야 하는 것도 있다.

와슈에는 여러 성적 우수 장학금이 있다.

◆ 각 단과대학들이 지급하는 성적 우수 장학금

우선 워싱턴 대학의 각 학부에서는 등록금 전액에 해당하는 4년제 장학금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입학 원서 심사에 따라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을 학생을 최종 합격자로 선정한다.

다음은 각 학과의 장학생 선발 지침이다.

■ 예술 과학 대학

Ampersand Scholars은 입학 원서를 기준으로 선발되며, 별도의 원서는 필요하지 않다. 위원회는 특히 커먼앤드컨벤션 어플에서 '와슈에서 공부하는 것에 관심이 있고 왜 관심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주목해 예술과 과학(인문, 자연과학, 사회과학)의 전통적인 탐구 범주를 넘나드는 학문 영역에 대한 관심의 증거를 찾을 예정이다. 16명에게 1천달러의 수당과 함께 학비 전액 장학금을 수여한다.

■ Sam Fox School of Design & Visual Arts

이 장학금을 받으려면 별도의 포트폴리오를 제출해야 한다.

■ Olin Business School

- Distinguished Scholars Program : 1명 이상에게 전액 학비 장학금과 5명까지 학비 일부를 부담하는 장학금을 지급한다.

■ McKelvey School of Engineering

별도의 신청이 필요없다. 자동 선발을 한다.

- Alexander S. Langsdorf Fellowships : 10명까지 전액 장학금을 준다.

- James M. McKelvey Undergraduate Research Award :10명까지 5000달러 장학금을 준다.


◆ 시그니처 장학 프로그램

전액 및 반액 장학금 프로그램으로 각 학부별 우수 학생들을 모아 독특한 학술-문화 공동체를 만든다.

학회 프로그램(OSP) 내에 위치한 이 대학의 대표적인 성과 기반 장학 프로그램들은 각 학과의 학생들이 모여 지구 환경에서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해 공유하고, 배우고, 도전하고, 친구를 사귀고, 의견을 교환하는 독특한 학술 및 문화 공동체를 만든다.

이러한 프로그램 중 하나(또는 모두)에 지원하려면 먼저 Common App 또는 Coalition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와슈에 원서를 지원해야 한다.

와슈는 공통원서 작성 후 뒤에 따라오는 옵션인 Supplement 원서 작성 시에 시그니처 스콜라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을 해야 한다. 신청하는 프로그램마다 단답형 질문과 논술형 질문에 답변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이것은 공통원서와 코엘리션 에세이에 추가된다.

장학금 위원회는 공통 또는 연합 지원서와 함께 제출된 교사 추천서를 검토한다. 대학은 일반적인 2개 추천서 외에 3번째 추천서를 요구한다.

장학금 신청은 최종 후보자 그룹을 선정하는 위원회가 검토할 것이다. 결승 진출자는 2월 말까지 통보된다. 이어 2023년 3월 인터뷰 등 가상 이벤트가 잇따라 열린다. 결승 진출자는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가상 이벤트와 인터뷰에 참석해야 합니다.

이 장학금은 가정 경제상황에 따라 주는 Need based grant 가 아니다. 그야말로 메릿 장학금이다. 능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이 전액 메릿 장학금에 도전해 보자. 더 자세한 것은 미래교육연구소에 문의 또는 상담을 하면 된다. <미래교육연구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