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경시대회', 미국 대학 입시 꼭 필요한 액티비티 아니다!!!




하버드, MIT에 가려면 세계 올림피아드 수상해야

학원들의 상술에 대부분 속고 있어

대학 주최 등 사설 경시대회 아무런 효과 없어

미래교육연구소에 미국 등 해외 대학 입시 상담차 방문하는 학부모들의 대다수가 "미국 명문대학에 가려면 EC로 경시대회를 해야 한다고 학원들이 말하는데요. 어떻게 해야 하지요?"라고 질문을 한다.

내방 학부모들의 99%가 미국 대학에 가기 위해서 경시대회를 해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 필자가 블로그나 유튜브를 통해 여러차례 이 부분에 대해 언급을 했는데도 여전히 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니 딱하다. 학원 또는 유학원들이 돈벌이 수단으로 '경시대회'를 강조하며 자신들의 학원에서 공부할 것을 요구하는 마케팅을 하는 데 학부모들은 훅- 빨려들어가 시간과 돈을 낭비하고 있으니 답답할 뿐이다.


'경시대회'란 한 분야의 특기자들이 모두 모여 시험을 치르거나 일정한 과제를 수행하여 우수한 사람을 가리는 대회의 총칭한다. 경시대회 수상 실적은 학생의 학업적 능력을 평가하는 요소의 하나다. 경시대회에서 우승을 하면 분명 우수한 학생이다. 학교의 성적(GPA)와 SAT-ACT외에 학업적 능력을 평가하는 좋은 요소일 수 있다.

경시대회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가장 규모가 큰 분야는 단연 수학분야다. 경시대회라는 말 자체가 좁은 의미로는 수학 및 과학 경시대회를 일컫는다. 일선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공립 경시대회와 대학이나 단체 등이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사설 경시대회가 있다. 여러 단체들이 돈벌이 수단으로 경시대회를 만들어 학생들을 참여시키고 있다.

미국 대학, 특히 상위권 대학 지원을 할 때 모든 경시대회 수상자가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경시대회 실적을 중요한 액티비티로 인정받으려면 어느 수준의 경시대회에서 수상을 했느냐가 중요하다. 아이비리그급 대학에서 인정을 받으려면 세계 올림피아드 수상자이어야 한다. 그나마 괜찮다는 인정을 받으려면 국가 단위, 즉 '대한민국 수학 올림피아드' 등 경시대회에서 수상을 해야 한다. 일선 교육청이나 대학들이 실시하는 경시대회 수상 실적은 미국 상위권 대학에서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그런데 학원들이나 유학원들은 이것 저것 가리지 않고, "경시대회에 나가라"고 학부모들을 부추긴다. 왜 그럴까? 학생들을 학원으로 끌어들여서 돈을 벌자는 속셈이다. 학부모들은 여기에 꼼짝없이 말려들어가고 있다.

한국에서 세계 올림피아드에서 수상하는 학생들은 분야별로 5명 내외다.

지난해 즉, 2022년 7월 6~16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개최된 제63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한국대표단 학생 6명 전원이 메달을 획득하면서 총점 208점으로 국가 종합 2위를 달성했다. 최우진(서울과학고 2), 배준휘(서울과학고 2), 이규동(서울과학고 2) 학생이 금메달을 받았으며, 김동현(서울과고3), 정유찬(서울과학고 1), 진영범(서울과학고 1) 학생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번 대회는 104국 학생 589명이 참가했으며 금매달 6개로 총점 252점을 받은 중국이 종합 1위에 올랐다. 한국 다음으로 미국, 베트남, 루마니아가 각각 3~5위를 차지했다.

여기서 보듯이 한국학생 가운데 6명이 수상을 했다. 이 정도 되어야 하버드, MIT 등에서 먹힌다. 서울시 수학 경시대회나 학교 경시대회 수상 실적은 그냥 한 줄 적는 수준이다. 그런데 경시대회에 나가야 한다고??????

미국 대학 지원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이 산적한 데, 학원에 가서 경시대회 준비를 하거나 SAT 준비를 하는 학생들을 보면 딱하다. 몰라도 이렇게 모르나하는 생각이 든다.

언제 어디서부터 이런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는지 몰라도, 미국 대학 지원에 '소소한 경시대회기록'은 먹히지 않는다. 학부모들이여!!! 제발 속지 말기를 바란다. 오늘도 학원들은 미국 대학 입시 설명회나 홈페이지에 '경시대회'를 해야 한다고 대대적으로 광고를 하고 있다. 이 업체들을 나무랄 수 없다. 장사꾼들이니까. 부모들이 속지 말아야 한다.

'EC로 경시대회를 해야 한다고?' 속지마라. <미래교육연구소장 이강렬 박사>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그게 쉽지 않다. 그러나 독일 대학원은 의외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하고도 한국에 정착하

디퍼와 웨이팅의 차이와 그 대처 방법→ "디퍼 먹었어요"

디퍼(Deferral)는 얼리에서 합격도 불합격도 아닌 상태로 레귤러에서 다시 한번 심사를 하겠다는 것이다. 웨이팅은 정시, 즉 레귤러에서 합격도 불합격도 아닌 상태로 결원이 있으면 추가 합격을 시켜주겠다는 것이다. ​ 얼리에서 불합격된 학생은 재심의 기회가 없다. 그러나 디퍼가 된 학생은 레귤러에서 재심의 기회가 있다. 그러나 아무나 디퍼에서 레귤러 재심을 통해 합격이 되는 것은 아니다. 디퍼를 풀려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웨이팅에서 풀리려면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 미래교육연구소는 얼리에서 디퍼가 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디퍼 풀기'전략을 상담을 통해서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