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학생들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도 끌어들이는 아름다운 미국 대학 캠퍼스들

 Travel and Leisure는 2023년도에 가장 아름다운 미국 대학 캠퍼스 25곳을 발표했다.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학 캠퍼스는 이 대학에 진학하고 싶은 학생과 그 가족들만 끌어들이는 것이 아니다. 완벽하게 다듬어진 잔디밭, 멋진 건축물, 주목할 만한 랜드마크를 보고 싶어하는 많은 관광객들이 몰려든다. 플로리다의 리조트 같은 캠퍼스부터 북동부의 유럽풍 고딕 양식의 대학까지,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대학 25곳을 소개한다.



1위는 Stanford University, California




8,180에이커(약 1천만평)에 달하는 스탠포드 캠퍼스로 들어가는 입구는 아름다운 대학 캠퍼스 중 가장 웅장하다. 1마일 길이의 나무가 늘어선 팜 드라이브는 붉은 지붕의 건물과 캠퍼스의 대표적 건축물인 모자이크 외관이 인상적인 기념 교회로 둘러싸인 넓은 녹색 타원형의 메인 쿼드로 이어진다. 파리를 넘어 세계 최대 규모인 오귀스트 로댕의 청동 작품 170점을 소장하고 있는 칸토르 예술 센터에서 아름다움은 계속된다. 맑은 날에는 후버 타워 전망대에서 캠퍼스 전경을 비롯해 샌프란시스코까지 한눈에 담을 수 있다.



2위: Berry College, Georgia




조지아주 마운트 베리에 있는 이 시골 대학은 27,000에이커(3천3,05만평)가 넘는 들판, 호수, 숲, 산으로 둘러싸인 세계 최대 규모의 대학 캠퍼스다. 베리는 학교의 최대 후원자인 헨리 포드가 지은 포드 다이닝 홀, 포드 오디토리움, 메리 홀과 같은 아름다운 영국 고딕 양식의 건물 근처에 수많은 반사 수영장과 분수대가 있는 등 주변 환경을 잘 활용하고 있다.



3위: University of Notre Dame, Indiana




1842년에 설립된 이 가톨릭 학교를 대표하는 네오 고딕 양식의 성심 대성당은 말할 것도 없고, 노트르담 본관의 반짝이는 황금빛 돔도 놓치기 어렵다. 화려한 건축물 외에도 캠퍼스에는 학생들이 수업이나 축구 경기장에 있지 않을 때 휴식을 취하기 위해 모이는 울창한 쿼드가 가득하다.



4위: Florida Southern College, Florida




플로리다주 레이크랜드의 홀링스워스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위치한 플로리다 서던대학에는 색색의 유리 조각과 연철 탑이 있는 애니 파이퍼 채플을 비롯해 세계 최대의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건물 컬렉션이 있다는 사실에 놀랄지도 모른다. 라이트가 직접 "미국 최초의 독특한 캠퍼스"라고 불렀으며 2012년에는 국립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



5위: University of San Diego, California




가장 아름다운 캠퍼스 중 일부는 다양한 스타일이 어우러진 곳이지만 샌디에이고 대학교는 정교한 외관, 섬세한 철공예, 조각된 목공예가 돋보이는 스페인 르네상스 스타일을 고집한다. 바다 전망과 야자수가 늘어선 안뜰은 캠퍼스 안의 낙원 같은 매력을 더하고 있다. 짙푸른 돔과 단단한 청동 정문으로 이루어진 이마쿨라타 예배당은 도시 곳곳에서 볼 수 있으며, 캠퍼스에서 사진 찍기 좋은 랜드마크 중 하나다.



6위: Bard College, New York




프랭크 게리의 피셔 센터는 유리와 브러시드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물결 모양의 작품으로, 일 년 내내 바드의 번성하는 예술 현장을 보여준다. 이 센터는 19세기 시골 캠퍼스의 건축 스펙트럼 중 포스트 모던, 컬리지, 그리스 리바이벌 스타일 등 현대적 측면에 속한다. 통로가 있어 쉽게 둘러볼 수 있으며 멀리 캐츠킬 산맥이 보인다.



7위: Rice University, Texas




휴스턴 시내에 위치한 라이스 대학교의 주소에 사람들은 도시 한복판 삭막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장엄한 떡갈나무 두 줄이 캠퍼스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데, 이는 앞으로 조성될 300에이커 규모의 울창한 캠퍼스를 사각형으로 나누고 있다. 수천 그루의 느릅나무, 히코리, 단풍나무 및 기타 나무가 캠퍼스를 수놓고 있다. 눈에 띄는 로벳 홀과 같이 가장 오래된 건물은 웅장한 아치형 통로와 장미색 벽돌 등 중세 남부 유럽 건축의 요소를 차용했다.



8위: Cornell University, New York




코넬의 야심찬 캠퍼스 기획자들은 핑거 레이크 중 가장 긴 카유가 호수 위에 드라마틱한 메인 쿼드를 만들고자 했다. 원래 계획은 발전하여 현재 이 아름다운 환경에는 맥그로 타워와 같은 역사적인 건축물과 I. M. 페이가 설계한 존슨 미술관, 렘 쿨하스의 밀스타인 홀과 같은 현대적인 건축물이 모두 들어섰다. 코넬 캠퍼스에서 이타카 시내까지 400피트 이상 떨어지는 8개의 폭포가 있는 캐스카딜라 협곡은 예비 학생과 학부모에게 항상 깊은 인상을 남긴다.



9위: The University of the South, Tennessee




테네시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컴벌랜드 고원에 위치한 13,000에이커(15,914,262평) 규모의 전원 캠퍼스는 고딕 양식의 건축물과 숲, 호숫가 절벽, 캠퍼스를 가로지르는 개울을 따라 흐르는 정원 계곡 등 웅장한 주변 환경이 어우러져 있다. 봄에는 수선화, 히아신스, 튤립이 피어난다. 올 세인트 채플은 옥스퍼드의 대학 교회와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영감을 받았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극작가이자 자신의 유산을 수와니에 남긴 극작가의 이름을 딴 테네시 윌리엄스 센터에서 공연을 관람해 보면 좋을 것이다.



10위: University of Washington




시애틀 캠퍼스의 눈길을 사로잡는 대학 고딕 양식의 수잘로 도서관은 35피트 높이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과 정교하게 도금한 아치형 천장이 65피트 높이로 솟아 있다. 하지만 봄이 되면 29그루의 왕벚나무가 붉은 벽돌 건물을 배경으로 섬세한 분홍색 꽃잎을 피워 시선을 사로잡는다. 드럼헬러 분수는 눈 덮인 레이니어 산의 경치를 감상하기에 좋은 장소다.



이후 랭킹을 보자.


11위: Princeton University, New Jersey


12위: Kenyon College, Ohio


13위: Swarthmore College, Pennsylvania


14위: University of Virginia


15위: Yale University, Connecticut


16위: Duke University, North Carolina


17위: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18위: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19위: Wellesley College, Massachusetts


20위: The College of William & Mary, Virginia


21위: University of Chicago, Illinois


22위: Bryn Mawr College, Pennsylvania


23위: Furman University, South Carolina


24위: Vanderbilt University, Tennessee


25위: Flagler College, Florida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