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미국대학 재정 보조 신청, 증여 받은것 정확하게 기입해야 한다

 "저는 유럽에 거주하는 미국 시민권자 학생입니다. 현재 10학년입니다. 할아버지가 제게 1억원을 증여해 주시겠답니다. 감사하지만 부모님은 소득이 1억여원 정도라 제가 미국 대학에 진학을 할때 재정보조를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증여를 받으면 12학년때 미국 대학에 지원을 할 때 Financiald Aid 신청을 해야 하는데 이때 영향을 미치나요?  못받거나 적게 받게 되나요?"







행복한 고민이다.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1억원을 증여해 주셨다. 그런데 그런 기쁨도 잠시, 학비를 부담해야 할 아버지 소득이 1억원을 약간 넘어서 아이가 미국에 갈 때 반드시 재정보조를 받아야 하는 상황인데... 1억원을 받았으니 재정보조가 줄어들거나 못받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다.



이 학생이 미국 대학에 지원을 할 때는 2가지 서류를 써야 한다.


미국 연방정부가 주는 재정보조를 받기 위해 FAFSA를 써야한다.


학교가 갖고 있는 기부금에서 주는 Financial aid를 받기위해 CSS프로파일을 써야 한다.



증여는 미국 대학 Financial Aid 신청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대학 Financial Aid는 재정보조를 신청한 학생의 가정 소득, 자산, 그리고 부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증여는 학생의 자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증여를 받으면 학생의 재정 상황은 개선되며, 이에 따라 Financial Aid를 적게 받거나 아예 받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증여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나 잠재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Financial Aid를 신청할 때는 증여를 받은 사실을 정확하게 보고하고, 증여의 배경과 학생의 학업 성취도 등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대학 Financial Aid 신청 시 증여를 보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FAFSA (Free Application for Federal Student Aid): 미국 연방 정부에서 제공하는 Financial Aid 신청서다. FAFSA에는 증여를 포함한 학생의 모든 재정 정보를 기재해야 한다.



CSS Profile: 일부 대학에서 요구하는 추가 Financial Aid 신청서다. CSS Profile에는 FAFSA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정보를 기재해야 한다. 증여를 포함한 학생의 자산, 부채, 그리고 기타 재정 정보를 기재해야 한다.



증여를 받은 학생이 Financial Aid를 신청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증여를 받은 사실을 정확하게 보고해야 한다. 증여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보고할 경우, Financial Aid가 취소되거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증여의 배경과 학생의 학업 성취도 등을 설명해야 한다. 증여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나 잠재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해야 한다.


학생의 재정 상황을 정확하게 산정해야 한다. 증여를 포함한 학생의 모든 재정 정보를 정확하게 산정해야 한다.


증여를 받은 학생이 Financial Aid를 신청할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전문가는 학생의 재정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Financial Aid를 받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