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미국대학 전공 고민이라면 읽어보세요

 컴사는 대폭 낮아져, 그만큼 희소성이 없어져.


1위는 석유공학. 2위는 운영연구 및 산업 엔지니어링



Payscale.com은 미국의 대표적인 연봉 정보 웹사이트 중 하나다.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워싱턴주 시애틀에 위치해 있다. Payscale의 주요 목적은 개인과 기업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봉 및 보상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페이스케일 닷컴이 제공한 정보 가운데 학부 출신들이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전공에 대해 알아본다. 어쩌면 전공은 대학 명성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어떤 전공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인생이 달라진다. 전공에 따라 누구는 평생 가난하게 살고, 또 누구는 평생 풍요롭게 살 수 있다.



오늘은 페이스케일 닷컴이 제공한 학부전공중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전공을 보자.


첫번째는 Petroleum Engineering(석유공학)이다. 초봉이 9만 7000달러이고, 중견 연봉이 21만 2500달러다. 왜 이렇게 석유공학 전공자 연봉이 높을까?


 석유공학 전공자가 미국 대학 학부 출신 중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높은 수요: 석유와 가스는 여전히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이 산업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공학 전공자에 대한 수요도 높은 편이다.


전문성: 석유공학은 높은 수준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분야다. 석유 및 가스 자원의 탐사, 시추, 생산 등 일련의 과정에는 복잡한 기술과 노하우가 필요하며, 이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다.


위험성과 보상: 석유 및 가스 산업은 높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유가 변동, 지정학적 리스크, 사고 위험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성에 대한 보상으로 업계에서는 높은 연봉을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글로벌 기회: 석유 및 가스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펼쳐져 있어, 석유공학 전공자들은 국제적인 경력을 쌓을 기회가 많다. 해외 근무 시 추가 수당과 복리후생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연봉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업 특성: 석유 및 가스 산업은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산업으로,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이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업계 종사자들의 연봉 수준도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 분야 배출 인원이 다른 전공에 비해 극히 적다.


다만 석유공학 전공자의 높은 연봉은 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가 하락이나 대체 에너지 부상 등으로 인해 업계가 타격을 받을 경우, 고용 안정성과 연봉 수준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두번째로 많은 연봉을 받는 전공은 'Operations Research & Industrial Engineering(운영연구 및 산업 엔지니어링)'이다. Operations Research & Industrial Engineering (OR&IE)는 복합적인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다. 이 전공에서는 수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는 솔루션을 개발한다. OR&IE 전공자들이 다루는 주요 분야: 최적화(Optimiza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 확률 및 통계(Probability and Statistics), 생산 및 공급망 관리(Productio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인간 공학(Human Factors Engineering) 등이다.


이 분야 전공자의 초봉은 9만 9300달러이고, 중견 연봉은 19만 1800달러다. 



세번째는 Interaction Design(인터엑션 디자인)이다. Interaction Design(인터랙션 디자인)은 사용자와 제품 또는 서비스 간의 상호작용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 분야다. 이 전공에서는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 중심적 접근 방식을 취하며, 디자인, 심리학, 인지과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활용한다. 이 전공자들이 다루는 분야는 사용자 연구(User Research), 정보 구조 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와이어프레이밍 및 프로토타이핑(Wireframing and Prototyping), 시각 디자인(Visual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유저빌리티 테스팅(Usability Testing) 등이다.


초봉은 7만 4000달러, 중견 연봉은 17만 3000달러다.



네번째 전공은 Applied Economics and Management(응용 경제학 및 경영) 초봉 7만6500달러,  중견 연봉 16만 4400달러


다섯번째 전공은 Building Science(과학구축) 초봉 6만 9000달러, 중견연봉 16만 3000달러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변화를 보아야 한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컴퓨터 사이언스가 가장 높은 연봉 2-3위에 들었다. 그러나 지금은 무려 26위로 내려 앉았다. 컴퓨테이셔널 응용수학은 34위로 더 내려갔다. 컴퓨터 과학& 수학은 42위로 낮다. 



미래교육연구소는 대학 입시 컨설팅에서 전공에 따른 대학 선택을 도와주고 있다. 다른 컨설팅 업체와 다른 모습으로 학부모들께 도움을 드린다. <미래교육연구소장 이강렬 박사>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