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한국 의사들이 미국 병원에서 취업하려면 알아야 할 것

 미국 시민권자, 미국 의대출신 매칭은 93.7%


한국 전공의, 미국 의사 면허 취득 후 59.4%






최근 의사 증원을 놓고 정부와 갈등을 빚은 전공의들이 대거 대학 병원을 이탈했다. 그들은  한국에서 근무하느니 차라리  미국 등 해외에서 의사 자격을 취득하고 현지에서 취업을 하겠다고 공공연하게 떠벌였다.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망각한 채 환자들을 버리고 밥그릇을 챙기려는 '고약한 이들'의 생각대로 과연 미국에서 취업이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우선 여기서 미국 시민권자라 함은 미국 시민권을 가진 사람들로,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시민권을 취득한 사람들을 포함한다. 국제의대 졸업생(IMGs)는 해외 의대에서 의학 학위를 받은 사람을 의미한다. 이들은 미국시민권자로 의학 교육을 받기 위해 해외로 나갔거나, 해외 출신, 즉 한국 국적으로 그곳(한국)에서 의학 교육을 받은 경우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은 후자에 속한다.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미국 시민인 학생이 해외의 의과대학에서 교육을 받고 학위를 받은 후,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기 위해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지원할 때 "미국 시민 국제 의대 졸업생(IMG)"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자면 연세대 교수인 인요한(존 린튼)씨의 경우다. 그는 지금은 한국 국적을 취득했지만 미국 국적으로 한국의 연세대 의대를 다녔고, 미국 의사 자격 시험을 취득했다. 그는 IMGs다. 한국인 의사들,전공의들은 당연히 IMGs다.



 IMGs들은 미국 내 의과대학 졸업생과 함께 NRMP(National Resident Matching Program)에 지원하여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매칭된다. 그들이 미국 내에서 의사로 활동하기 위해 ECFMG(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는 IMGs가 미국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면허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여기서 NRMP(National Resident Matching Program)에 대해 알아본다. NRPS는 미국에서 의대 졸업생들이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매칭될 수 있도록 돕는 비영리 조직이다. 1952년에 설립되었으며, 매년 수천 명의 의과대학 졸업생들이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NRMP는 매년 "Main Residency Match"를 통해 의대 졸업생들이 병원과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매칭된다. 이 과정은 학생들의 선호도와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매칭을 이루어진다.매년 3월에 결과가 발표되며, 학생들은 자신이 매칭된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서플리멘털 오퍼 및 수락 프로그램(Supplemental Offer and Acceptance Program, SOAP): 매칭에 실패한 학생들을 위해 추가로 제공되는 기회다.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은 포지션에 대해 다시 지원할 수 있으며, SOAP를 통해 매칭될 수 있다.


특별 전문 레지던시 매칭 프로그램(Specialties Matching Service, SMS): 특정 전문 분야(예: 소아과, 정신과 등)에 대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메인 매칭 프로그램 외에 추가적으로 운영되는 매칭 프로그램이다.



NRMP(National Resident Matching Program) 및 ECFMG(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와 같은 기관의 자료를 확인해 보면  매칭 성공률은 시민권자 미국의대 졸업생 보다 많이 떨어진다. 2023년 매칭 결과를 보면 총 48,156명이 매칭에 등록하였으며, 37,425개의 PGY-1(1년차 레지던시) 포지션이 제공되었다. 미국 의대 졸업생의 매칭률은 약 93.7%였으며, 미국 시민 국제 의대 졸업생(IMG)의 매칭률은 67.6%, 비미국 시민 IMG의 매칭률은 59.4%였다​. 


즉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이 미국 의사자격을 취득한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미국 병원에 취업할 확률은 약 60%밖에 안 된다. 



미래교육연구소는 미국 의대(의학대학원)에 진학하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 의대 진학률이 매우 높은 학부 대학 진학을 컨설팅하고 있다.  미국의대 진학률은 우리가 아는 명문 대학들 사이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 의대에 진학을 하려면 그만큼 Pre Medi프로그램이 잘 돼 있는 학부에 진학을 해야 한다. 미래교육연구소는 바로 이 점에 초점을 맞춰 입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미래교육연구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