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퍼듀 공대와 퍼듀 폴리텍, 나에게 맞는 대학은?



퍼듀 공대 vs. 폴리텍: 당신에게 맞는 공학 전공은?



퍼듀 대학교(Purdue University)는 명문 주립대학으로 미국에서 최고 수준의 공과대학이다. 그런데 퍼듀에는 "College of Engineering"과 "Polytechnic Institute"라는 두 개의 큰 공대 단과대학이 있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공학 관련 분야를 다루지만, 학습 접근 방식, 커리큘럼의 초점, 그리고 졸업 후 진로 방향에 있어 명확한 차이가 있다.


1. 퍼듀 공과대학 (Purdue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 초점: 전통적인 공학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이론 교육과 연구 중심의 학습에 중점을 둔다.

  • 커리큘럼:

    • 강력한 이론적 기반: 수학, 물리학, 화학 등 기초 과학과 공학 원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요구한다.

    • 연구 지향: 학부 과정부터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많으며, 대학원 진학이나 R&D 분야의 커리어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 전통적인 공학 전공: 항공우주공학(Aeronautical & Astronautical Engineering), 화학공학(Chemical Engineering),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 전기공학(Electrical Engineering), 산업공학(Industrial Engineering), 기계공학(Mechanical Engineering), 핵공학(Nuclear Engineering) 등 매우 광범위하고 전통적인 공학 분야를 다룬다.

    • ABET 인증: 대부분의 공학 프로그램은 ABET(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의 인증을 받아, 졸업 후 전문 엔지니어로서 활동하는 데 필요한 자격을 갖추게 된다.

  • 졸업 후 진로: 주로 연구 개발(R&D), 학계,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엔지니어링 포지션 등으로 진출하며,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취득 후 더 전문적인 커리어를 추구하는 경우가 많다.

2. 퍼듀 폴리텍 인스티튜트 (Purdue Polytechnic Institute)


  • 초점: 이론보다는 실용적이고 응용 중심적인 학습, 즉 "hands-on" 교육에 강점을 둔다. 특정 산업 분야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 습득에 주력한다.

  • 커리큘럼:

    • 응용 및 실습 중심: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실험, 인턴십 등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한다.

    • 산업 현장 연계: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지식을 교육합니다. 필수 인턴십을 통해 현장 경험을 쌓도록 장려한다.

    • 기술 중심 전공: 공학 기술(Engineering Technology)이라는 이름이 붙은 다양한 세부 전공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항공 및 운송 기술(Aviation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컴퓨터 및 정보 기술(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Computer Graphics Technology), 건설 관리 기술(Construction Management Technology), 산업 공학 기술(Industrial Engineering Technology), 기계 공학 기술(Mechanical Engineering Technology)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오디오 공학 기술, 로봇 공학 기술,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기술 중심의 전공들이 있다.

    • 'Technology' vs. 'Engineering': 전통적인 공학(Engineering)이 과학 및 수학 이론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면, 공학 기술(Engineering Technology)은 설계된 시스템을 구현, 유지보수, 운영하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강조한다.

  • 졸업 후 진로: 졸업 후 바로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 생산, 운영, 유지보수, 기술 지원, 품질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과 같은 실무 엔지니어링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Job-ready'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주요 차이점 요약>

구분

퍼듀 공과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퍼듀 폴리텍 인스티튜트 (Polytechnic Institute)

학습 방식

이론 중심, 연구 지향적

실용 중심, 응용 지향적, 프로젝트 기반

커리큘럼 초점

공학 원리, 심층 이론, 문제 해결 능력

특정 산업 분야의 실무 기술, 장비 운영 및 유지보수, 문제 해결 능력

졸업 후 진로

연구 개발(R&D), 학계, 고수준 설계/분석 엔지니어

생산, 운영, 기술 지원, 유지보수, 현장 관리 엔지니어

수학/과학 수준

고등 수학 및 이론 물리학/화학 등 깊이 있는 학습 요구

응용 수학 및 과학, 실용적 문제 해결에 중점

대표 전공 예시

항공우주공학, 화학공학, 전기공학, 기계공학 등

항공 공학 기술, 컴퓨터 정보 기술, 산업 공학 기술, 건설 관리 기술 등



어떤 선택이 나에게 맞을까?


  • 퍼듀 공과대학은 만약 여러분이 복잡한 이론을 배우고,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며, 미래의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흥미가 있다면 적합하다. 학문적인 깊이를 추구하고, 장기적으로 연구직이나 고위 설계 엔지니어, 혹은 교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이쪽이 좋다.

  • 퍼듀 폴리텍 인스티튜트이론보다는 실제 장비를 다루고,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고,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기술을 배우는 데 관심이 있다면 좋은 선택이다. 졸업 후 바로 현장에 투입되어 생산성 향상이나 기술 구현에 기여하고 싶다면 이쪽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두 단과대학 모두 퍼듀 대학교의 훌륭한 학문적 명성을 공유하며, 학생들은 웨스트 라파예트 캠퍼스의 모든 자원과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학업 목표와 커리어 열망에 가장 잘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다. <TEPI/미래교육연구소>

<TEPI/미래교육 상담 신청>


전화: 1577-6683/ 02) 780-0262

메일: tepikr@gmail.com

카카오채널: http://pf.kakao.com/_kxbQUxb/chat

등록 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YmVBh5kDTzbRRUl_LTihB8gyqttDTw6EWtTbAg0NMc9GItg/viewform





#퍼듀대학교#PurdueUniversity #퍼듀공대 #PurdueEngineering #PolytechnicInstitute #공과대학 #공학기술 #엔지니어링 #EngineeringTechnology #STEM #미국유학 #미국대학 #공대입학 #학업선택 #진로탐색 #HandsOnLearning #연구중심 #실무중심 #미래교육연구소 #TEPI #미국대학입시컨설팅 #미국대학입시 #미국대학유학 #퍼듀대학유학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미국 소재 한의대 대학원 과정으로 한의사 되려면

2년 이상 학부 과정 이수 후, 대학원 석사 과정 진학 중의학 석사 4년 과정, 대부분 3년에 수료 한때 국내에서도 한의대가 최고 인기를 누리던 때가 있었다. 명문 특목고 학생들 가운데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경희대 한의대를 비롯해 전국 한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했다. 예전만큼 한의대가 인기는 없지만 여전히 '퇴직 없는 전문직인 한의사'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고 있다. 2021 수시 경쟁률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대 평균 경쟁률은 29.53 대 1이고 경희대 한의대는 62.19 대 1로 최고다. 그런데 최근 일부이지만 미국에 소재하고 있는 한의대( 미국에서는 Oriental Medicine 혹은 Chinese Medicine이라고 함)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미국 한의대(중의대)는 학부 과정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다. 즉 Master 혹은 PhD 과정이다. 따라서 대학 학부를 졸업했거나 그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는 6년 과정  한의대 과정을 마치고 한의사 시험을 보면  한의사로 활동을 할 수 있으나 미국은 2년 이상의 학부를 다니고  석사과정 4년으로 진학 후 시험을 보고 통과하면 한의사로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3년 만에 모두 이수를 한다. 예과의 개념이 없다. 따라서 학부 2년 과정을 마치고 한의대를 갈 수 있다. 학부 4년을 마치고 가면 진학이 더욱 확실하다. 미국 연방 한의과 대학 인가 위원회 (ACAOM)의 최종 인가를 받은 학교는 미 전역에 50개가 넘는다. 이 가운데 캘리포니아주에 가장 많이 있다.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진 중의학 대학들이 미 캘리포니아주에 있다. 수강 언어는 영어, 중국어, 한국어다. 한국에서는 양의와 한의 간의 갈등이 심하다. 일반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은 한의사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은 중의학, 한의학이 대체의학으로써 완전히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배척하지 않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

영어로 공부하는 학비무료 독일 대학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내외 대학 졸업 후, 지원 가능 학부 전공과 석사 전공이 일치돼야 전공 바꾸려면 학부 과정으로 다시 입학해야 독일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 과정은 국제학생들에게도 무료다. 이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서울대 연고대도 대학 석사과정에 가려면 비용이 든다. 들어도 꽤 많다. 그런데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은 학비가 없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대학원은 학비를 받는다. 그것도 꽤 많이 받는다.  최근 국내외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 학업을 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나이를 먹고 부모에게 의존한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스스로 벌어서 가거나 학비가 저렴한 곳을 찾는다. 그럼에도 독일 대학원과 노르웨이 대학원 석사과정에 학비가 없고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은 많지 않다.  최근 독일 및 노르웨이 대학원에 대한 문의가 전보다 훨씬 많아졌다. 오늘은 독일 대학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자. 독일 대학원은 기본적으로 학비가 없다. 오직 fee만 있는데 이게 연간 30-60만 원 정도다.  독일 대학원의 많은 전공들이 영어로 개설돼있다. 물론 독일어로 개설된 전공들이 훨씬 더 많다. 그러나 international program이라고 해서 영어로 개설된 프로그램이 아주 많다 . 여기서 international 이란 말은 영어로 개설됐다는 뜻이다.  독일 대학원의 Engineering 전공에 영어로 개설된 전공이 308개나 된다. 독일의 여러 대학원에 개설된 영어로 할 수 있는 공학 전공을 합친 것이다. 독일의 공학은 매우 유명하다. TU9이라고 해서 9개 명문 공과대학이 주를 이룬다. 이 명문 공과대학 가운데 상당수가 많은 전공을 영어로 개설해 놓고 있으며 학비가 없다.  한국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미국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 독일 대학 학부로 가기가 매우 까다롭다. 여러 차례 이 블로그에서 설명을 했지만 각 국가별 조건을 맞추어야 한다. 그러나 ...

미국 대학 지원자, 토플 점수 몇점 받아야 하나?

​ 주립대학 79-80점, 사립대학 100점 내외 11학년 1학기까지 토플 점수 확보해야 ​ 미국 대학들은 지원하는 국제학생들에게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한다.​ 영어 공인성적이라함은 일반적으로 토플과 아이엘츠다. 왜 영어 공인성적을 요구할까? 대학에서 영어로 강의하는 과목을 제대로 따라올 수 있을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토플이나 아이엘츠 등 영어 공인성적이 없으면 아예 원서 제출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토플은 미국의 ETS가 개발한 영어 공인 테스트다. 대학마다 그 요구하는 성적이 다르다. 보통 일반 주립대학들은 79점 혹은 80점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위권 주립대학과 사립대학들은 보통 100점을 요구한다. 토플 만점은 120점이다. ​ 그런데 학생에 따라서 토플 성적을 쉽게 확보하는 학생이 있는 반면, 몇년을 해도 제자리 걸음을 하는 학생도 있다. 어떤 학부모들은 "SAT를 먼저 끝내놓고 토플을 하려고 한다. SAT를 하면 토플 공부는 저절로 되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사실일까? 어느 정도 사실이지만 꼭 맞는 말은 아니다.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 점수도 낮기 때문이다. ​ A군은 토플 점수가 61점에서 시작을 해서 73점에서 1년 가까이를 공부해도 오르지 않았다. SAT 점수는 1100점대 후반.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SAT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토플을 미리 미리 공부를 해야 한다. SAT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어차피 토플 점수도 높다. ​ 가급적 토플은 11학년 1학기때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늦어도 11학년 2학기 초반에는 점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 ■ 미래교육연구소 / 엔토플 공동 협력 토플 지도 ​ 미래교육연구소는 협력 기관인 김재현 엔토플과 함께 토플 성적을 확보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하고 있다. 김재현 엔토플 학원은 서울 압구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명문 토플 학원이다. 김재현 원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USC에서 테솔 석사를 했으며 박정 어학원 창설멤버다. 보통 ...